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합니다. 하지만 세심하게 연구하기 때문에 수학자들만이 발견할 수 있는 게 있죠. 어떤 결과가 왜 나오게 됐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명확하게 입증하는 것이 수학만의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한국에서 수학을 공부하는 것에 확신이 서지 않는다는 학생도 있어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아니오. 저는 ... ...
- [News & Issue] ‘인기 짱’이 나서면 왕따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공동연구팀은 영향력 있는 학생들이 나섰을 때 교내 갈등이 30%나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4일자에 발표했다.미국 프린스턴대 우드로윌슨공공국제정책대학원 엘리자베스 펠럭 교수팀은 2012년 뉴저지 주 56개 중학교 학생 2만4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혈액 샘플을 실험했다.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전까지는 조혈모세포가 순차적으로 변화해 혈액세포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었다.딕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빈혈이나 ...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부부 394명을 대상으로 부부 사이에 갈등이 있을 때 언제 상실감을 느끼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아내는 남편의 감정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불만 사항을 남편과 의논하지 못할 경우에 깊은 상실감과 슬픔을 느꼈다. 반면에 남편은 아내를 감정적으로 지지하거나 위로해야한다는 사실 자체에 깊은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게 생태학입니다. 현재는 인공위성으로 몽골과 중국의 사막화를 연구하는데,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현장을 비교해보기 위해 현장조사를 자주 나갑니다. 이제는 유목민들이 저를 반겨줄 정도입니다.”_강신규 강원대 환경학과 교수(생태학)촬영은 얼굴이 붉어지기 전에같은 날 6시. 서울대 내의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pone.0110710).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범죄학과의 게일 앤더슨 교수가 제1저자를 맡았다. 결과를 보면, 돼지사체를 놓자마자 우선 갑각류가 달려들었다. 세점새우와 갑옷바닷가재, 대짜은행게가 가장 활발히 사체를 뜯어먹었다. 내장을 비롯해 부드러운 부위를 다 먹어치웠고 뼈에 분화구처럼 움푹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주로 조사했다. 실험 결과 ‘편안하다’, ‘행복하다’, ‘즐겁다’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들 모두 중간 템포의 재즈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간 템포의 범위는 5~109BPM였다. 어느 정도 빠르기인지 감이 안 온다면, 식당에 가서 노라 존스의 ‘돈 노 와이(Don’t know why)’를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앞서 두 치료제가 자가면역질환인 원형 탈모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에 발표했다. 그런데 실험하는 도중에 우연히 약을 먹이는 것보다 몸에 발랐을 때 효과가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됐다. 두 약물은 면역세포가 모낭 세포를 공격하지 않게 막아 줄 뿐만 아니라, 피부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습(B)을 원숭이는 어떻게 인식했을까요? V2세포의 반응은 놀랍게도 첫 번째 실험 결과와 비슷했어요. 검은 막대의 양 끝부분밖에 안 보였지만, 마치 잘리지 않은 막대가 움직인 것처럼 본 거예요. 단순히 무언가가 움직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요? 착시를 일으키지 않도록 잘린 검은 막대의 양 끝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그저 그렇다’, ‘보통이다’와 같은 중간 항목을 넣은 경우와 없는 경우의 결과가 전혀 다르다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보통이다’와 ‘모르겠다’를 찍는 사람들은 이 항목이 없을 때 ‘못했다’, ‘별로다’처럼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선택합니다.이 같은 사람의 심리를 이용해 긍정적인 ... ...
이전5675685695705715725735745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