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비행기의 방향키처럼 사용했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축소모형을 이용해 실험해 본 결과 익룡의 벼슬로는 방향키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최근에는 성선택 이론이 등장했다. 머리에 거대한 벼슬을 가지고 있는 익룡은 대부분 후기 쥐라기 이후에 등장해 진화한 종류다. 땅에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효과를 줘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우리는 이것을 암흑물질이라고 부른다. 연구 결과 암흑물질은 단순한 먼지나 미세한 알갱이, 가스 같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됐다. 보통의 원자나 분자들은 빛을 산란시키는데, 암흑 물질은 그런 성질을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중력 렌즈 효과와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야스민 벨카이드 박사팀이 2015년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원성 외부물질이 피부 표면에 닿자 표피포도상구균이 세포독성 T 세포(TC 세포)를 유도해 선천성 면역 보호 작용을 강화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상재균까지 모두 다 제거하는 워터프리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모리아티는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세계각지의 셜로키언은 어떤 연구로 재미난 결과를 내놓을지 기대가 된다.참고자료 : Alain Goriely and Derek E. Moulton , John F. Bowers , 아서 코난 도일의 ((주)현대문학, 인트랜스 번역원 옮김),이언 스튜어트 중 ‘궤도의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다음 해당 층을 접기 위해 필요한 가로 길이인 16πt, 12πt, 11πt, 15πt를 모두 더했다. 결과는 54πt다.그런데 갤리번의 양쪽 방향 접기 공식에 따르면 종이를 다섯 번째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가로 길이는 n이 5일 때의 값인 64πt에서 n이 3일 때의 값인 8πt를 뺀 56πt다. 2πt만큼의 차이를 알게 된 학생들은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남자가 여자보다 길을 더 잘 찾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 ...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 ...
- [News & Issue]굶주린 아기새, 커서도 먹이 집착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굶주림과 비만’은 상반된 단어지만 연관성이 의외로 높다. 최근엔 실험으로도 밝혀졌다. 영국 뉴캐슬대 멜리사 베이트슨 교수팀은 새끼 때 굶주림 ...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흔히 비만을 겪는 사실과 연결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동물 행동’ 2015년 11월 6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낙하 시스템을 도입해 로봇의 안정성과 점프 높이를 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모방기술학술지(Bioinspiration and Biomimetics)’ 2015년 1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리고 디웨이브2X가 사용하는 양자 어닐링 알고리듬이 각각 걸리는 시간을 비교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연구팀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디웨이브2X는 기존 컴퓨터에 비해 속도가 1억 배 빨랐다. 배 교수는 “이런 비교 방식으로는 디웨이브2X의 속도가 빠른 게 양자 때문인지, 기존 컴퓨터와 동일한데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에 빛감지채널 유전자를 넣은 후 이를 쥐의 뇌에 주사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신경세포에 감염되면서 빛감지채널을 신경세포 DNA에 삽입시켰고, 유전자가 발현되자 감염된 신경세포들이 빛에 반응할 수 있게 됐다.마찬가지의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5705715725735745755765775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