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움직이지 마! 투명새우 보일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알아냈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말미잘 새우의 혈액 흐름을 관찰했다. 그 결과 정지해 있던 새우가 움직일 때마다 주 혈관에 흐르는 혈액의 양이 증가하고, 이것이 투명한 근육섬유 사이에 있는 미세혈관으로 흘러들어가 근육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얼음보다 빛 굴절률이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우라늄 농축 기술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진행했다. 그결과 네덜란드, 독일, 호주, 스웨덴, 이탈리아, 일본 등은 이미 1960~1970년대에 우라늄을 농축할 수 있는 원심분리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런 나라들은 맨해튼 프로젝트처럼 전국가적 자원과 인원을 쏟아 부은 것도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모리아티는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세계각지의 셜로키언은 어떤 연구로 재미난 결과를 내놓을지 기대가 된다.참고자료 : Alain Goriely and Derek E. Moulton , John F. Bowers , 아서 코난 도일의 ((주)현대문학, 인트랜스 번역원 옮김),이언 스튜어트 중 ‘궤도의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걸 이해해야 좋은 동료가 될 수 있어요. 생물학자의 실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처럼 결과가 뚝딱뚝딱 나오지 않거든요. 실험에 1년이 걸리기도 하고 몇 억이 들기도 해요. 실험을 쉽게 생각하면 안돼요.수학과 생물, 둘 다 잘 해야 하나요?두 분야를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건 맞지만, 생물학 논문을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낙하 시스템을 도입해 로봇의 안정성과 점프 높이를 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모방기술학술지(Bioinspiration and Biomimetics)’ 2015년 1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화성, 고리 없다(X) 생길 거다(O)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화성의 가장 큰 위성인 포보스는 매년 1.8cm씩 화성과 가까워지고 있다. 현재 화성과 포보스의 거리는 고작 6000km. 미국의 한 연구팀이 포보스의 운명을 ... 힘들 것”이라며 “고리의 그림자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구과학’ 11월23일자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강행했다는 이유로 여전히 손가락질 받고 있지만, 그가 이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연구 결과는 인간의 본질을 좀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됐다.인간과 93% 닮은 붉은털원숭이허 연구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사이, 센터의 전문 사육사가 찍은 사진이 도착했다. 사진 속 원숭이의 손은 인간의 손과 아주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효과를 줘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우리는 이것을 암흑물질이라고 부른다. 연구 결과 암흑물질은 단순한 먼지나 미세한 알갱이, 가스 같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됐다. 보통의 원자나 분자들은 빛을 산란시키는데, 암흑 물질은 그런 성질을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중력 렌즈 효과와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게 되면서 일일이 종이 서류를 보내서 본인의 신용을 증명할 필요가 없어졌어요. 그 결과 은행 창구에 굳이 가지 않아도 되는 시대로 성큼 다가서게 됐답니다.가상화폐의 대표 주자, 비트코인가상화폐란 온라인 사이트나 게임 등 가상 세계에서 이용되고, 민간이 발행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돈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해왔어요. 그 결과 쿼크까지 찾아냈지요. 그리고 쿼크를 포함한 기본 입자와 소립자 세계의 질서를 나타내는 기본 모형인 ‘표준모형’을 만들었어요. 표준이론을 만든 물리학자 셸던 글래쇼와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은 197 ... ...
이전569570571572573574575576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