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나오면서 상황은 미묘해진다. 양자역학적으로는 전자 하나가 여러 장소에 동시에
존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호 글을 바탕으로 간단한 쪽지 시험을 보자. 사진을 찍었더니 A라는 장소에서 전자가 발견되었다. 사진을 찍기 바로 직전에 전자는 어디에 있었을까? “그야 당연히 A 아닌가?”라고 ... ...
“그녀가 날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했나요?”
2015.01.18
사실을 알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칼렙은 자신을 부른 네이든은 물론 자기 자신의
존재
조차도 제대로 믿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칼렙은 과연 에이바의 인격이 잘 짜여진 프로그램의 결과인지, 아니면 진정한 인공지능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 자연스러운 대화는 물론 수 만 명의 남성들과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않거나 약하게 반응했다. 또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세포의 표면에
존재
하는 BDNF 단백질 수용체가 건강한 심장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에서 조금 다르다는 사실 알아냈다. 이 수용체는 BDNF 단백질이 내보내는 화학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수용체는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몸 안에서 어떤 일을 벌이고 있는가가 하나둘 밝혀지면서 생각 이상으로 골치 아픈
존재
임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최근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처럼 우군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생로병사에서 본격적으로 노(老)의 단계에 들어간 필자로서는 게놈 속에 잠자는 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게 ... ...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보이는 반면 뇌의 움직임은 우리 눈에 즉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내’가 ‘나’로
존재
할 수 있는 기묘한 이유를 뇌 속 여행기를 통해 알아보자. 지브레인 제공 ◆ 힉스 입자 그리고 그 너머 (리언 레더먼, 크리스토퍼 힐 著, 지브레인 刊) 힉스 입자는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가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존재
도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학자들은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 부른다.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전파 감지기(수신기)를 넣는다.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가 받아 분석해 땅굴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전파는 40~100메가헤르츠(MHz) 대역으로 휴대전화와 FM 라디오의 중간 정도다. 핵심은 전파의 속도다. 송신기와 수신기를 땅 위에서 바닥까지 20cm 간격으로 움직이면서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것도 바로 이웃의 아라와크 족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식인종은 인류 역사상 전혀
존재
한 적이 없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식인 풍습을 지닌 종족이 발견됐거든요. 파푸아 뉴기니에 살고 있는 포레 족입니다. 포레 족은 1940년대까지 외부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파푸아 뉴기니를 ... ...
“제 2의 지구, 이름이 뭐예요?”
동아사이언스
l
2015.01.06
蝕) 현상을 이용했다. 모성 앞을 행성이 지나면 모성의 밝기가 어두워지므로 외계행성의
존재
를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 방영된 SBS드라마 의 도민준(김수현 역)의 고향인 행성 역시 이같은 방법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외계행성의 이름은 'KMT184.05'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준비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물리학자들은 “무한은 수학적 완결성을 위해 필요한 개념이지만, 물리 세계 어디에도
존재
하지 않는다”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말을 유념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글 말미에 필자들은 학술지 편집자들에게 당부의 말을 남겼다. 즉 실험적으로 테스트할 방법이 없는 사변적인 연구결과들은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