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1건 검색되었습니다.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존재
하지 않았고 전성설은 몰락했다. 후성발생은 1879년 월터 플레밍이 염색체를 발견하면서 개념을 수정해야 했다. 플레밍은 염색체가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고, 이로써 화학반응이 아닌 ... ...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함께 공개됐다. 이들은 서한에서 ‘AI 자동화 무기’ 개발을 금지하자고 했다. 아직
존재
하지 않는 AI 자동화 무기는 공격 대상만 미리 설정해 놓으면 기준에 맞춰 목표를 공격하는 무기로 인간의 개입 없이 알아서 작동한다. 이들은 AI 자동화 무기 개발이 핵무기 개발과 같은 ‘군비 경쟁’으로 ... ...
저장 용량은 수백 배, 동작 속도는 수천 배 빠른 메모리
2015.07.28
물질의 두께가 얇을수록 DMI가 커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유 교수는 “이론적으로만
존재
했던 DMI 값을 정확히 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크다”면서 “기존 메모리에 비해 저장용량이 최대 수 백 배 크고, 동작 속도도 수 천 배 빠른 2세대 스핀기반 메모리 소자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 ...
PART 0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7.28
평이 많았다. 씨네 21 이주현 기자는 2012년 씨네21 리뷰에서 “동생 정미를 연기한 강별의
존재
가 눈에 띈다. 죽음의 공포에 잠식당해 미쳐가는 소녀의 모습을 시원하게 표현해냈다”고 평가했다. ◆ 흥행에 실패한 여배우 1. 윤진서 60.854dB, 정유미 59.062dB 윤진서와 정유미는 모두 2007년, 영화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지도교수였던 파인만은 여전히 에이스(쿼크)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쿼크의
존재
를 지지하는 이론과 실험결과가 이어졌고(아쉽게도 에이스란 용어는 쿼크에 밀렸다) 1969년 겔만은 단독으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팔중도가 주된 업적이었지만 쿼크도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1970년대 들어 ... ...
이번엔 진짜! 지구와 가장 닮은 ‘제2의 지구’ 발견
2015.07.25
지구(왼쪽)와 케플러-452b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NASA가 23일 발견했다고 밝힌 행성 케플러-452b는 지름이 지구의 1.6배 공전주기는 385일로 그 특징과 환경이 지구와 유사해 ... 행성 때문에 생기는 밝기의 차이를 관찰해 간접적으로 행성의 크기와 질량 등 행성의
존재
를 유추하고 있다. ... ...
심해 지질 전문가의 ‘마지막 논문’
2015.07.24
고(故) 박영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012년 지큐호에 승선한 당시 모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시추선 지큐(地球)호의 항해 일정이 결정됐습니다. 우리 중 누가 탑승하시겠습니까?” 2011년 7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과학자들은 ‘국제해저지각시추사업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생각해 왔지만 구체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사람과 쥐의 뇌에 동일하게
존재
하는 ‘CGRP’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이 분포하는 ‘팔곁핵(Parabrachial nuclues)’과 ‘편도핵(Amygdala)’이 통증을 인식하고 고통을 느끼며 기억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하고 쥐를 이용해 실험을 ... ...
과거 떠오르게 하는 ‘마들렌’ 같은 영화
2015.07.19
과거나 미래를 생각할 때 자세의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크론에스테시아의
존재
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20명의 몸에 운동 센서를 부착하고 미래나 과거의 일 중 아무거나 생각하게 했다. 그 결과 과거의 추억을 떠올린 사람들은 몸이 2mm 가량 뒤로 젖혀진 반면 미래를 떠올린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관찰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나노 입자뿐 아니라 단백질, 바이러스 등 액상으로
존재
하는 모든 물질의 구조를 자연 상태 그대로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