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정성 높고 잘 휘는 니켈 기반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가능성이 높아 기대를 모은다. 이대호 가천대 기계
공학
과 교수와 고승환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는 극한 환경에서도 잘 녹슬지 않고 유연한 투명 니켈전극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전극은 전기가 드나드는 양쪽 끝인 +극과 -극을 의미한다. 전극을 통해 빛을 내는 LED와 같은 광전자 소재에 ... ...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에 5년간 445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10년부터 추진해 온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은 시스템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공학
, 정보및지능시스템, 인간-컴퓨터인터랙션(HCI) 등 네 개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134억 원이 지원된다. 이 사업은 지난 2018년에만 SCI 논문을 84건 발표하고 학술대회 발표도 360회 ... ...
GIST 학생들, EDISON 경진대회서 대상 및 우수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김준하 교수는 “환경 산업은 빅데이터 처리에 익숙한 실용적인 연구능력을 갖춘 환경
공학
인을 필요로 한다”며 “여기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환경 데이터를 다루는 전문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팔 움직임 보고 사람 의도대로 움직이는 로봇 손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모은다. 인간중심소프트로봇기술연구센터(SRRC)의 조규진 센터장(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과 조성호 브레인그룹장(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은 영상으로 사람의 의도를 예측하고 웨어러블 로봇이 스스로 그 의도에 맞는 연속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AI ‘비디오넷(VIDEO-Net)’을 개발했다고 ... ...
"대중교통 이용하면 건강해진다"는 말은 '사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비만율이 내려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쉘든 제이콥슨 미국 일리노이대 컴퓨터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미국 전역의 대중교통 이용률이 오르면 비만율이 내려간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트랜스폴테이션 파트A: 폴리시엔프랙티스’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4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대한 연구는 많은 진전이 있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유연하면서도 감각센서가 통합된 폴리머로 만든 회로를 통해 인공무당 벌레가 남긴 미세한 움직임까지 느낄 수 있는 인공피부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 ...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용량의 7배 성능을 보일 차세대 2차전지 구현이 가까워진 것이다. 김희탁 KAIST 생명과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리튬-황 전지가 이론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용량의 92%를 구현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기 자동차나 드론 등 대용량 전지가 필요한 기술이 발달하며 차세대 ... ...
자연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고장난 혈관 대체할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말했다. 연구에는 강병준 연세대 기계
공학
부 박사과정생과 신지수 연세대 생명
공학
부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연구팀이 제작한 인공혈관 조직을 떼어내는 모습. 강병준 제공 ... ...
"노인에겐 내리막길이 가장 위험…심각한 교통사고 23배↑"
2019.01.30
안전벨트 미착용에 따른 부상위험도 1.69배에 달했다. 카이스트(KAIST) 건설 및 환경
공학
과 연구팀(윤윤진·노유나·김민재)은 2008∼2015년 사이 서울에서 발생한 35만7천679건의 경찰청 교통사고 데이터를 대상으로 고령 인구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머신러닝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 ... ...
韓·日 연구진, 세계 최고 광도 반도체 레이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노다 스쓰무 일본 교토대 교수팀과 송봉식 성균관대 전자전기
공학
부 교수팀은 세계 최고 광도(300MW/㎠·sr)의 10W급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송 교수팀은 고광도 레이저의 출력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반도체 레이저는 레이저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