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움직이는 쥐의 뇌 반응 실시간으로 읽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뇌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현주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와 티어샤 덴마크공대(DTU) 교수 연구팀은 초소형·초경량화한 미세초음파소자(CMUT)로 쥐의 뇌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움직이는 쥐의 뇌 반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얻는 ... ...
- DGIST 학부생, 네발로 가다 뱀처럼 기는 로봇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움직임을 보이는 뱀을 로봇 연구 주제로 선정했다”며 “학과 없이 공부하는 학생들이 공학과 생물학을 융합한 연구를 수행하며 관련 지식과 이해도를 넓힌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김성현 학부생은 “지난 1년간 팀원들, 윤 교수님과 함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배운 많은 것들로 이번에 ... ...
-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성영은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크기가 서로 다른 기공이 뚫린 ‘계층적 다공 나노구조’를 활용해 연료전지 촉매 가격을 10분의 1로 줄이면서도 안정성은 대폭 높인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료전지는 촉매를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2019.02.11
- 김기산. 기업에서 IT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20년 가까이 리눅스 개발자로 지내다가 뜻밖의 계기로 육아휴직을 냈다. 지난해 한층 강화된 '아빠의 달' 제도의 수혜자로, 9살 아이와 스킨십을 늘리며 복지 확대의 긍정적인 면을 몸소 깨닫고 있다. ... ...
-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나노세계 힘’ 측정 방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부 조범석 교수와 김이영 연구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이창영 교수팀은 나노 세계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힘인 ‘분산상호작용’을 원자나 전자 등 작은 물질이 파동의 성질을 보일 때 발생하는 ‘물질파’를 이용해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 ...
- 서울대 공대생들, EDISON 경진대회서 대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에디슨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며 계산과학공학과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목표로 매년 열린다. 올해는 도시환경,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전산의학 6개 전문분야에 이공계 학생 300여 명이 참가했다 ...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동아사이언스 l2019.02.10
- 않았다. 5세대 초콜릿은 ‘맞춤형 초콜릿’ 배리칼리보는 현재 벨기에 플랑드르생명공학연구소(VIB)와 케빈 페르스트레펜 벨기에 루뱅대 미생물분자생물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5세대 초콜릿’의 후보가 될 새로운 초콜릿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 카카오빈 ... ...
- KAIST 연구진, 뉴로모픽 칩 시냅스 구현동아사이언스 l2019.02.10
- 뇌의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최성율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진이 ‘멤리스터(Memristor)’ 소자의 구동 방식을 아날로그 형태로 바꿔 뉴로모픽 칩의 시냅스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기존 디지털 비휘발성 ... ...
- “北최고인재 로켓 만드는데 南에선 쌍커풀 만든다” 北 과학자가 본 남북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9.02.10
- 컴퓨터과학이, 김책공대는 공학 전반의 학과가 있다. 그밖에 화학공학이나 건설공학 등 분야별로 특화된 대학이 지역에 있다. 하지만 전공보다는 대학의 ‘이름값’이 가장 중요하다. 사이언 씨는 “북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학을 ‘라벨’을 위해 가며, 이 때문에 최고 라벨의 대학을 가기 위한 ...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2019.02.09
- 않은 미토콘드리아(왼쪽)와 노출돼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오른쪽)의 모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 작년 11월 19일 인도네시아에 있는 와카토비섬 해변에서 향유고래의 사체가 발견됐습니다. 그런데 이 사체를 조사하던 중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어마어마한 양의 ... ...
이전5615625635645655665675685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