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현상 분석(Numerical simulation of seaonal convection in an inclined talus)'이라는 논문을 발표해 해당분야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송교수는 이 얼음골의 생성 원리를 국내 언론 매체에서는 처음으로 과학동아에 소개했다.슬슬 여름휴가가 시작되고 있다. 바다로 갈까 산으로 갈까. 한여름에 시원한 바람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굴착해 현재 가동중이다.스웨덴뿐 아니라 스칸디나비아반도 국가들은 모두 일찍부터 이 분야에 눈을 돌려 현재 상당한 수준의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핀란드는 60년대에 라이닝(구조물 보강)을 하지 않은 암반공동을 이용한 저장시설을 처음 건설했다. 그리고 67년에 포르부정유단지에 3기의 원유 ... ...
- 고온초전도체 발견 10년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신비를 풀어나가는데 삶을 바치고 싶은 젊은이들이 있다면 꼭 연구하기를 권장하고픈 분야다.초전도현상을 설명하는 BCS이론고온에서는 설명 못해 초전도는 완전 도체의 성질과 반자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성질은 왜 생긴 것일까. 유감스럽게도 초전도현상은 발견된지 46년이 지나도록 ... ...
- 교육용 홈소프트웨어의 핵심은 대화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있지 않을까?인터액티브 사전형-그 비밀을 무엇일까?교육용 홈소프트웨어가 다루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과학, 자연, 음악, 요리, 미용, 식생활, 언어, 지리, 천체, 역사, 정치, 문화, 사회 등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두거나 배우면 좋을 모든 학문과 정보가 교육용 홈소프트웨어의 대상이 된다. ... ...
- 3. 불임과 인공수정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자료를 구한다는 사실이 기대감을 갖게 했다.그러나 막상 발벗고 나섰지만 이 분야에 아는 사람이 없었다. 결국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다. 우리들은 불임과 인공수정에 관한 기사를 썼다는 과학동아 기자를 찾아가 보기로 했다.드디어 기자와의 만남. 기자들은 예상외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대도시 1급진료 가능 교육과 함께 의료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활용이 주목되는 또다른 분야로 꼽힌다. 이미 미국 등 통신시설이 잘 갖추어진 나라에서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한 원격진료를 현실화하기 위한 연구가 상당 수준 진행되고 있다. CT나 MRI촬영 화면, X선 필름 등 진찰 자료를 영상으로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관해 전문적으로 5년 이상 종사한 1백2명에게 '인정의' 라는 자격을 부여했다. 아직 통증분야가 하나의 '과' 로는 인정되기 않았기 때문에 정부에서 부여하는 '전문의' 는 없는 실정이다.종합병원의 통증치료실을 찾는 환자는 대부분 같은 병원 내 다른 과에서 추천을 받고 온다. 이상철 교수는 "1991년 ...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과학동아 l1996년 07호
- 폰프리쉬 박사에 의해 처음 우리에게 알려졌다. 그는 이른바 행태학(ethology)이라는 분야를 정립한 선구자 중 한명이다. 온몸이 화학공장 정탐벌(scout bee)은 꿀이 듬뿍 담긴 꽃을 발견하고 돌아온 뒤 꼬리춤(waggle dance)이라는 독특한 행동을 나타내 꿀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알려준다. 이때 ...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인공 지하공간으로는 세계 최대를 자랑한다.암반굴착기술, 냉.난방, 환기시설 등 이 분야의 세계 최첨단 기술이 총망라돼 투입된 이 시설은 경기장과 관중석의 온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에어커튼(air curtain)이 설치됐다. 물론 유사시 관중들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시설과 소방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 ...
- 두 얼굴의 장마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영국의 식민지였던 시절 영국인들은 인도의 모든 요직을 차지하고 있었다. 기상 관측 분야도 예외가 아니였다. 그래서 인도 몬순에 대한 연구는 1880년대 한 영국인이 간단한 통계 모델을 도입해 시작했다. 이후 보다 복잡한 방정식을 세워 컴퓨터에 입력시키 후 시뮬레이션을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 ...
이전5655665675685695705715725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