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718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우주정거장 ‘톈궁 2호’ 곧 폐기...한반도 추락 가능성은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16일 밝혔다. 중국유인우주국(CMSEO)에 따르면, 대기권에 들어온 톈궁 2호의 기체는 대부
분
대기와 마찰해 불타 없어지게 된다. 다만 남은 잔해물은 서경 160~90도, 남위 30~45도 범위의 남태평양 해역에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대기권 재진입 준비 작업은 계획에 따라 잘 진행되고 ... ...
세계 최초 5G 상용화 기여 실무자 10명에 장관 표창 수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현장에서 기여해준 실무자
분
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세계 최초를 넘어 5G
분
야 세계 최고 국가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 ...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등에 응용돼 제조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
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3월 28일자에 발표됐다. ... ...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김 교수는 “원천기술이 개발된 상태로 올해 하반기에 두 기술을 결합해 실제로 수십
분
의 1초 이내에 탐지된 드론을 새와 구별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여기에 자체적으로 영상처리 알고리즘도 추가로 연구해 1~2km 이내 근거리에서는 영상을 이용해 드론 식별을 ... ...
치매 유전자 있어도 치매 막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같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경우 유전적인 요인이 높을 더라도 치매 발병률을 3
분
의 1 가량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웰린 교수는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유전적인 요인 때문에 치매를 피할 수 없다고 믿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지면 치매의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스마트팜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빛과 공기, 온도, 양
분
등 환경을 밖에서 제어하며 청정실에서 작물을 공산품처럼 생산하는 식물공장도 이날 소개됐다. 양중석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장은 “구역별로 일정한 기온과 상대습도가 유지되도록 환경을 제어하고 있다”며 ... ...
[2019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4 세계 문 두드리는 한국 대표 주자들 한 자리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위한 화성 드론을 제작해 호주에서 2주간 임무 구체화를 위한 테스트를 하는 등 다양한
분
야에서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신동윤 대표와 조남석 대표는 이번 코리아 스페이스 포럼 첫날 열리는 두 번째 기업설명회에서 우주시장의 다양한 아이템을 소개하고 한국 우주개발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실 화재…부상자 없이 비품 소실
연합뉴스
l
2019.07.13
[서울 성북소방서 제공] 13일 오전 8시 21
분
께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2층의 한 연구실에서 화재에 발생했다. 불은 인접 연구실까지 옮겨붙지 않고 화재 발생 30
분
만에 완전히 잡혔다. 화재로 대피하거나 다친 사람은 없는 것으로 ... ...
[프리미엄리포트]빅뱅으로 시작한 우주, 종말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07.13
돌아간다면? 그 뒤에 다시 빅뱅이 일어나 새로운 우주가 재탄생할 가능성은 충
분
하다. 이를 ‘빅바운스(Big Bounce)’ 가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금의 우주가 최초의 우주가 아니라, 지금까지 빅뱅과 빅크런치를 반복하며 수많은 우주가 열렸다가 닫혔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주가 영영 사라지는 ... ...
제헌절 새벽 부
분
월식 진행…관측은 거의 불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따라 관찰을 할 순 있지만 일반인은 거의 관찰할 수 없는 게 사실”이라며 “천문연도 부
분
월식을 촬영하거나 관찰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천문연은 “다음 월식은 반영월식이며 내년 1월 11일로 예정되어 있다”며 “개기월식은 2021년 5월 26일에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월식의 원리를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