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않는 펨토미터의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세계와 우주의 원리를 더 깊이 파악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그건 나노 과학만으로는 불가능하다.Q : 응용연구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무엇인가.A : 재료과학 분야다.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둥근 모습이 됐고, 다시 수면에 닿으면서 납반면 동그란 돌멩이를 던졌을 때는 총알이 깊이 박히는 듯한 모양으로 공간이 생겼어요. 결국 돌멩이는 튕겨나가지 못하고 물속으로 잠겨버렸지요. 연구팀은 여러 각도로 던져본 결과, 돌멩이가 두껍고 동그란 경우는 수면에 들어가는 각도가 작아질수록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식철학은 그 자체로 대단히 중요하고 진지하게 평가돼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깊이 공감되는 건 그래서다. 마침 굴드가 27년 동안 연재한 글 31편을 엮은 ‘판다의 엄지’도 다시 번역돼 나왔다. 스티븐 제이 굴드라는, 20세기가 낳은 최고의 사상가의 지평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나는 호사를 누릴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다”며 “그러나 실제로는 반대다. 장주기중력파의 파장은 11km보다 긴 반면, 바다의 깊이는 항상 이보다 얕다”고 말했다(바다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의 최대 수심이 약 11km다). 그는 “파도가 해저면에 직접 주는 영향에 비해 파도 충돌 효과는 10억 배 정도 약하다”고 덧붙였다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옆줄을 가지고 있지요. 이 옆줄에는 촉각이 특히 발달해 있어 물의 흐름과 온도, 깊이 등을 감지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제겐 한 가지 비밀이 더 있답니다. 바로, 지느러미예요.지금까지는 물고기가 헤엄치는 과정에서 지느러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내는 연구들이 주로 진행됐어요. 덕분에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활성화된 과학자 커뮤니티 사이트가 가장 먼저 나왔다고 해요. 자신의 논리를 펼치고, 깊이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이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붙이는 행위가 양자역학적으로 얽힘에 해당하는 겁니다.”(양현석 박사)이런 아이디어를 깊이 연구하고 열렬히 주장하는 과학자는 영국의 물리학자 줄리안 바버다. 그는 시간을 ‘환상’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보기엔, 우주에 나열돼 있는 모든 것들이 각각의 ‘지금’이다. “우리는 모든 것들이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의무는 아니라 그러지 않는 경우도 있다. 소금은 코쇠로 돌아오지 않았다. 그는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몇 년은 새로운 학생들을 유심히 보았으나 그처럼 빛나는 재능은 다시없었고, 그는 다시 붙박이의 세계로 천천히 침잠했다. 외로운 채로 시간은 흘러갔다. 학교에 오는 아이들도 조금씩 줄었다.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두께의 연속된 퇴적층이 있어야 한다. 언제든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위경도, 높이, 깊이 등)가 정확하고 접근성이 용이하며 보전도 잘 돼있어야 한다.홀로세는 시작된 지 ‘고작’ 1만1000년밖에 되지 않았다. 고생대부터의 총 38개의 ‘세’가 지속된 평균 기간은 1420만 년 정도다. 이 중에서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은이 그 주인공이다.특히 백연석의 주 성분인 납은 기원전 3500년경부터 인간 생활에 깊이 관여해온 금속이다. 납은 비교적 제련이 용이하면서도(산화 환원이 쉽게 이뤄짐) 풍부한 광물이고, 가공도 쉬워 일찍부터 납광석에서 추출해 사용했다. 로마 시대의 수도관도 납으로 만들었는데, 배관공을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