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맞이한 뜻 깊은 해에 헤이그 특사이며 독립운동가로만 익숙했던 이상설이 근대 수학을 깊이 이해한 선각자이고, 특히 한국의 정규 교육과정에 최초로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했으며, 근대 수학 교과서를 최초로 쓴 탁월한 수학 교육자였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군사훈련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선 자세인식을 위해 깊이영상 카메라 6대를 동시에 사용한다. 병사가 몸을 화면 반대 방향으로 돌리거나 구부려도 인식에 오류가 없게 하기 위해서다. 자이로 및 가속도, 지자기센서로 구성된 관성센서는 하반신에만 7개를 붙인다. 다리를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 소개 받은 동굴에 가보니,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표에서 30m 깊이까지 내려가야 하는데다, 중간에 폭이 20cm로 호리병 입구처럼 좁은 구간이 있어 통과하기가 어려웠다. 버거 교수는 곧바로 공개적으로 발굴단을 모집했다. 세계에서 지원이 잇따랐는데, 워낙 좁은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네게브사막 지대의 토양은 매우 건조한 모래와 약간의 황토로 이뤄져 있다. 800~1200m 깊이의 지하수에서는 염분이 섞인 물이 나온다. 사막에서는 깨끗한 물이 매우 비싸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염분이 섞인 물이라도 귀하다.라맛 네게브사막 농업연구소에서는 건조한 토양에서 염분이 있는 물을 이용해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장 높은 산인 올림푸스 산(Olympus Mons)이 있고, 적도부근에는 길이가 4000km, 폭이 100km,깊이가 7km나 되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협곡 왈레스 마리네리스(Valles Marineris, 마리네리스 협곡)도 있다. 마리네리스 협곡의 별명은 ‘화성의 흉터’다. 화성은 북반구와 남반구 지형도 매우 비대칭적이어서 일주 ... ...
- [과학뉴스] 심해 ‘스파게티 괴물’ 촬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우스햄프턴대 국립해양학센터 연구팀이 무인잠수정(ROV)을 이용해 1220m 깊이의 심해에서 괴생명체의 영상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석유나 가스를 시추하는 직원들에게 종종 목격된 미지의 생물이다. 언뜻 생명체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촉수를 이용해 느리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이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 다음으로 5~6%가량이 선택한 22, 0, 1이 뒤를 이었다. 이 실험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 깊이는 대개 한 번 또는 두 번인 셈이다.송 : 결론은 검은색 0을 낸 다음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상대의 수를 읽어서 2 또는 3을 내라는 건가.손 : 꼭 그렇지만은 않다.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게임 대부분이 이런 식으로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윤곽을 나타내는 신호만 받아 사진으로 나타내는 것이지요. 연구팀이 개발한 이 모형을 깊이 감지 카메라에 적용하면 찍고 싶은 대상만 뚜렷하게 3차원 사진으로 찍을 수 있답니다 ...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되면 본인이 궁금했던, 알고 싶었던 연구 주제를 깊이 공부할 수 있어요. 반면 회사는 깊이 있는 공부는 어렵지만 본인이 알고 있는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고 눈으로 보면서 얻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둘 중에 어떤 경로를 선택하든 본인의 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데이터로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싱크홀같이 지하에서 발생하는 일의 경우, 폭과 깊이가 함께 포함된 3차원 위치정보가 중요하다. 암석, 흙, 지하수 등 지반을 이루는 물질의 특성을 분석해 위험 정도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시에서는 땅 밑에 있는 하수도, 주차장 같은 인공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