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걷는 동작과 장애물을 피하는 동작에 끊김이 없지요. 뿐만 아니라, 한 발 점프로 40cm
높이
의 장애물을 넘나드는 것 역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동작이었답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대표인 마크 레이버트 박사는 “영상으로 공개된 건 20번 이상의 시도 끝에 나온 것”이라며 “동작이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등은 접시를 이용해
높이
를
높이
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한 은하수 작가님 모둠이었답니다.
높이
48cm를 기록해 보드게임 ‘닥터 유레카’를 선물로 받았지요.마지막은 팬파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시간! 작가님의 사인회예요. 독자들은 평소 좋아하던 작가님을 찾아 줄을 섰어요. 작가님은 독자의 ... ...
태풍이 지구에 남긴 상처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그 결과, 태풍 마리아로 인해 나무의 60%가 부러지거나 통째로 뽑혔으며, 숲의 평균
높이
가 3분의 1로 줄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다행히 살아남은 나무에선 다시금 새로운 잎이 자라나고, 광합성도 이루어지고 있음이 함께 밝혀졌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숲의 생태계가 바뀔 거라고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9호
깊이에 따라 생물을 채집해, 동물플랑크톤이 밤마다 식물플랑크톤이 모인
높이
까지 올라온다는 걸 확인했지요. 황해에서는 동물플랑크톤 중 생물량이 가장 많은 크릴류와 두번째로 많은 요각류가 이와 같은 이동을 한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이렇게 피젯스피너를 들어 올리면…!”수호가 이모에게 자랑을 하려고 피젯스피너를
높이
들어 올렸어요. 그러자 아이템이 번쩍하더니채윤이와 수호의 몸이 조그맣게 줄어들었답니다.“저것 봐! 웬 작은 공들이 마구 날아다니고 있어. 신기하다!”“지금 그게 문제가 아냐…. 아이템이 말을 듣지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잠수를 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에요. 따라서 동굴 내부로 자꾸 차오르는 물의
높이
를 낮춰 잠수 구간을 줄이는 일이 시급했지요. 이에 태국 왕립관개청에서는 한 시간에 160만L(리터)의 물을 빼내는 대용량 펌프를 설치했답니다. 이 펌프는 구조 작업이 펼쳐지는 동안 10억L의 물을 밖으로 빼냈지요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서커스 곡예사일까요? 공중그네에 매달려있던 사람이 하늘
높이
솟아오르더니 멋진 공중회전을 선보여요. 그런데 가까이서 보니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네요. 지난 7월 초, 디즈니에서 공개한 로봇 ‘스턴트로닉스(Stuntronics)’의 모습이지요.만화 영화로 잘 알려진 디즈니에는 ...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위해 ‘윙 트리밍’을 하는 것이 좋아요. 윙 트리밍은 날개깃을 조금 잘라 반려조가 너무
높이
날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예요. 이때 반려조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려조와 보호자가 충분히 친해지고 난 뒤 시행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반려조는 보호자를 위협적인 존재라고 여기고 ... ...
[과학뉴스] 몸으로 드론을 조종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날려본 적 있나요? 보통 드론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비행 방향과
높이
를 조종해요. 하지만 조이스틱을 다루기가 쉽지 않아서, 적응 기간을 거치며 익숙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실베스트로 미세라 교수팀은 몸의 움직임으로 드론을 조종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기록에 의하면 어떤 거미는 가장 가까운 해안가에서 1600km나 떨어진 배에서 잡혔어. 가장
높이
난 거미는 해발 약 5km 상공에서도 발견되었지.하지만 우리가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어. 그러다 최근 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의 연구진이 거미의 비행 원리를 발표했어. 알리: 너희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