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걸어간다. 모래 언덕 같아 보이지만 실은 사람의 손가락 지문 위다. 코끼리 조각상의 높이는 157μm에 불과하다. 사람의 숨결로도 부서질 수 있는 크기다. 허위츠는 멸종 위기에 빠진 아프리카코끼리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 작품을 만들었다. 실제로 2010~2012년 10만 마리의 아프리카코끼리가 불법 상아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미네르바는 로버-1A와 로버-1B의 2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육각형 통 모양에 지름 18cm, 높이 7cm, 무게 1.1kg의 작은 로봇입니다. 카메라로 류구 표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가시처럼 튀어나온 온도 센서로 온도를 측정합니다. 이밖에도 광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이 탑재돼 있습니다.10월 2일에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집광형으로 설계해야 한다. BIPV 기술은 현재 어느 수준까지 왔을까. 2013년 말 신축된 200m 높이의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서울 여의도 소재)은 벽, 발코니, 창문 등 외장재를 BIPV 모듈로 제작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시간당 최고 728kW다(40쪽 사진 1). 앞으로는 여기서 한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장 안쪽에는 철탑처럼 생긴 진공용기 조립장비가 거대한 양 날개를 펼친 채 서 있었다. 높이 22m, 폭 20m에 이르는 이 장비는 한국 회사인 SFA가 제작했다. 거대 중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오차 범위 2mm 이하의 매우 정밀한 기계 제어가 가능해 회원국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연말에는 효성그룹이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500m~2000m 높이에 나타나는 덩어리 모양의 구름.● 고적운: 지표면으로부터 2000∼7000m 높이에 나타나는 양떼 모양의 구름. 또, 아스페리타스의 특징인 파도 모양은 구름을 따라 흘러가는 대기 중력파 때문이었어요. 대기 중력파는 위로 올라간 공기가 중력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면서 생기는 ...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6일 저녁 독일의 3차원 기상도가 만들어졌어요. 이 3차원 기상도를 보면, 구름의 위치와 높이는 물론 강수량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흙빛은 독일의 지형이에요. 그 위의 노랑, 초록, 파란색은 구름을 나타내죠. 구름의 색깔이 노랑에서 파란색으로 변할수록 더욱 많은 비를 뿌리고 있다는 ...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발사장에서 총 13차례 우주로 향 했고, 프로젝트 아폴로를 성공시킨 역사적인 로켓이다. 높이 110.6m, 1단 지름 10.1m로 지금까지 개발된 로켓 중 가장 높고, 가장 무겁고, 가장 강력하다. NASA는 올해 10월 1일 창립 60주년을 맞았다. KSC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화 ‘퍼스트맨’ 시사 가 열렸다. KSC의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를 1촉광으로 정의했다. 독일의 공학자 헤프네(Hefner)는 1884년 아밀아세테이트를 불꽃 높이가 4 cm가 되도록 연소시키는 헤프네 램프를 고안했다. 헤프네 램프는 전구와 함께 당시 가장 실용적인 광도 표준으로 손꼽혔다. 1942년까지 독일의 촉광을 정의하는 데 사용됐다. 국제적인 광도 표준을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전체 단지 면적의 40~45%가 녹지예요. 현재 수목 높이가 20m를 넘어섰고 가슴 높이 기준으로 지름이 50cm가 넘는 메타세콰이어와 느티나무도 살고 있지요. 아파트 단지에 지하가 개발되지 않은 덕분에 나무가 뿌리를 깊숙이 내리고,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었던 거예요. 이렇게 크고 오래된 수목에는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인식해 훨씬 강한 힘을 낸다. 그래서 강화복을 입으면 더 무거운 무기를 휘두르고, 더 높이 뛰어오르고, 더 오랫동안 싸울 수 있다. 시각이나 의사소통 능력도 강화되기 때문에 적과 동료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전술을 바꿀 수 있다. 이 작품은 1997년 영화로도 나왔는데, 영화에서는 이런 강화복이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