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없는 모기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의 연구팀은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옮기지 않는 모기를 만들어내고 세계적인 생물학
저널
인 ‘플로스 패서전’ 7월호를 통해 발표했다.연구팀은 모기의 유전자를 변형해 말라리아의 원인이 되는 기생충이 모기의 체내에서 성장하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연구팀은 모기의 장 발달과 면역 반응,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사는 여전히 여름철 단골메뉴다.1994년 미국 록펠러대의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팀이 과학
저널
‘네이처’에 비만 유전자의 실체를 밝혔다는 논문을 발표했을 때만해도 인류는 비만의 문제에서 해방되는 듯 보였다. 이 논문은 ‘비만은 의지의 문제’라는 심리학적 접근이 주류였던 그 이전까지의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vs 굴드 vs 도킨스 vs 최재천과학주의 운동단체 ‘회의주의 학회’를 설립하고 과학
저널
‘스켑틱’을 만들어 사이비 과학, 창조론, 미신에 맞서 싸우고 있는 마이클 셔머는 자신의 저서 ‘왜 다윈이 중요한가’에서 “진화론이 처음 제기된 지 100년하고도 50년이 더 지난 지금, 과학계는 진화가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5월 20일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의 연구자들은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합성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해 인공생명체를 창조했다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JCVI-syn1.0’으로 명명된 합성세포는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고 이 기술이 생명과학 분야에 주는 의미는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보낼 때도 페로몬을 발산하는 동시에 떨기 춤을 춘다는 연구 결과가 생물학 분야 국제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벌은 0.1초간 몸을 약 38번이나 떨어 동료들이 위험한 곳에 다가가지 못하게 알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샌디에이고대 생물학과 제임스 니 교수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시달린 쥐들 역시 비슷한 신체 변화를 보였다. 1936년 셀리에 교수는 자신의 발견을 과학
저널
‘네이처’에 한 페이지짜리 짤막한 논문으로 정리해 발표했다. 논문의 제목은 ‘다양한 유해 자극으로 생긴 증후군’으로 여기서 그는 “손상을 입히는 자극의 유형에 무관하게 전형적인 증상이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능력”이라며 “과학동아 같은 대중매체와 과학에 관심 있는 대중들이 그러한 과학
저널
리스트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는 자신의 게놈을 분석해 병의 원인이 된 유전자 변이 2곳을 밝혀 ‘뉴잉글랜드의학
저널
’ 4월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미국 스탠퍼드대 스티븐 퀘이크 교수도 자신의 게놈 분석 결과 갑작스런 심장마비가 올 수 있는 유전적 결함이 발견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약물인 스타틴을 복용하라는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1만 명에 1명꼴로 근육통이나 근육쇠약 같은 부작용이 있다. 2008년 ‘뉴잉글랜드의학
저널
’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SLCO1B1 유전자의 한 SNP가 CC형인 경우 TT형보다 17배, CT형도 TT형보다 4.5배나 부작용의 확률이 높다. 이 유전자는 주로 간에서 발현돼 약물이나 천연화합물 같은 분자를 대사(분해)하는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여성 침 속의 코티솔 수치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해 ‘신경과학
저널
’에 발표했다. 코티솔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이다. 결국 이 실험은 인체에서 발견된 물질이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지만 돼지 페로몬처럼 강력한 효과가 있다는 걸 보여주지는 못했다. 아무튼 최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