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수도 올해 ‘셀’의 편집위원으로 선임됐습니다(현 교수도 2005년부터 재료과학
저널
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이나 과학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이번 성과전시회에 오셔서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마음껏 즐기시기를 바랍니다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결과도 많다. 한국해양대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임선영 교수는 2007년 ‘생명과학
저널
’에 발표한 논문에서 DHA를 섭취한 쥐에 비해 DHA가 결핍된 쥐는 미로에서 벗어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보고했다. 임 교수는 “이유기부터 성장기까지 오메가3이 결핍된 먹이로 사육한 쥐는 뇌의 DHA ... ...
자기조립물질이 경고하는 지구온난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상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새삼 경이롭다. 강 연구원의 작품은 과학
저널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이 선정한 ‘2009 국제 과학기술 시각화대회’ 사진 부문 1위에 뽑혔다. 올해로 일곱 번째로 열린 이 대회는 세계 14개국에서 출품된 과학사진·삽화·정보성 그래픽 등 130개 ... ...
‘꿀근육’ 있어야 진짜‘꿀벅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이 ‘국제비만학
저널
’ 1월호에 밝힌 연구결과에 따르면 몸에서 지방이 빨리 분해될 경우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이라는 물질이 많이 분비되면서 심혈관질환과 인슐린내성, 당뇨병 같은 각종 대사 장애가 일어날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와 관련해 20세기 초에 활동하던 영국의 신경과학자 러셀 브레인과 헨리 헤드는 신경학
저널
‘브레인’에서 인간은 근육, 눈, 피부 등 온몸의 감각점을 뇌의 두정엽에 저장하고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이때 머리나 엉덩이의 감각점은 두정엽 위쪽에, 혀나 턱의 감각점은 아래쪽에 재현되는 식으로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없다. 우리나라의 광학 기술은 세계수준에서 많이 뒤쳐진 걸까. 그는 “세계 유수의 과학
저널
에서 우리의 현미경들을 소개하면서 각각의 현미경이 세계 최초임을 인정했다”며 “다만 국내는 사업가들이 광학 기기에 대한 국내 수요가 작다고 판단해 관련 업체를 세우길 주저하는 것 같다”고 ... ...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노스움브리아대 심리학부 앤드류 숄레이 교수팀은 2008년 같은
저널
에 카페인과 데아닌을 함께 섭취할 경우에만 각성도와 기억력이 더 나아졌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데아닌이나 카페인 단독으로는 기억력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데, 함께 쓰면 뚜렷이 향상됐다”며 ... ...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알코올의 해로움을 경고하기 위해 몸이 스스로 유전적 변이를 일으켰다고 생물의학
저널
인 ‘BMC 진화생물학’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따라서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붉어지는 성향은 유럽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고 추정할 수 있다.얼굴 빨개지는 현상도 병일 수 있어 부끄럽거나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식량을 찾아다녔던 남녀의 원시 습성으로 설명해요. 크루거 교수는 이런 결과를 국제
저널
‘사회와 진화, 문화심리학’ 2009년 겨울호에 발표했어요. 크루거 교수는 남성이 필요한 물건을 사서 재빨리 집으로 돌아가는 행동은 이리저리 내빼는 사냥감을 용케 잡아서 얼른 집으로 돌아왔던 습성에서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집중을 더 잘하게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 셈이다. 2008년 8월 국제학술지‘소비자 행동
저널
’에 실린 이 연구결과는 천장의 높이가 사람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집중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넘어, 건축물이 그 안에 존재하는 인간의 인지과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최초로 보였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