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정하는데요, 이때도 ‘손실함수’라는 함수가 사용됩니다. 손실함수 역시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계산이 간편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손실함수는 ‘평균제곱오차’예요. AI가 출력한 값과 실제 값과의 차이를 제곱하고 평균을 계산해 출력값과 실제 값의 오차를 얻는 방법입니다. 단순히 차이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6가지 대칭이동을 아무리 복잡하게 섞어도 나오는 모양의 종류가 6가지 중 하나인데, 이렇게 가능한 대칭이동을 모아놓은 집합을 ‘군’이라고 합니다. 즉, 군론은 대칭의 규칙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원, 무한한 대칭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매년 3월 14일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워낙 많이 언급되는 탓에 흔히 ‘AI=딥러닝’이라고 인식된다. 하지만 딥러닝은 많은 종류의 AI 중 하나일 뿐이다(AI⊃딥러닝). AI를 학습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개발자가 AI에게 모든 규칙을 일일이 심어주지 않고, AI가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의사결정을 위한 규칙을 형성하는 것을 ...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분할법은 한 사람이 나누고, 나머지 사람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나조아가 빵 세 종류를 적당히 골라 14개씩 바구니 3개에 나눠 담습니다. 나조아가 빵을 나눴으므로, 이번엔 정만아와 남도움이 각자 마음에 드는 바구니를 골라 갖고 싶은 순서대로 종이에 적습니다. 만약 정만아와 남도움이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초콜릿 만들기, 영롱한 초콜릿의 비밀은 템퍼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성질이 달라집니다. 우리의 주인공, 카카오버터의 경우에는 녹는점에 따라 크게 여섯 종류(γ, α, β'III, β'IV, βV, βVI)의 결정 모양이 있죠. 이 여섯 가지 결정 중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모양이 바로 ‘베타(βV) 결정’입니다. 베타 결정을 형성하지 않는 초콜릿은 얼룩도 생기고 초콜릿이 잘 녹아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알데하이드, 카르복실산, 아이소시안화물 등 4종류의 작용기를 가진 분자를 이용해 약 1500종류의 분자를 합성했다. 합성된 분자에는 각각 비트 순서를 부여하고 해당 분자가 존재하는 경우 1을,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의 신호로 해석했다. 1500개 분자를 사용하면 1500비트의 데이터를, 3000개의 분자를 ... ...
- [과학동아x긱블] 되네르 케밥 기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오킹 님을 고생시켜 보겠습니다. 악마의 기어비 80:1케밥은 터키의 대표 음식입니다. 종류가 굉장히 다양한데, 기둥처럼 쌓아올린 고깃덩어리를 구워 잘라낸 뒤 얇은 빵 위에 채소와 함께 얹어 싸 먹는 ‘되네르 케밥’이 유명합니다. 여기서 고기를 굽는 방식이 독특한데요. 긴 꼬챙이에 저민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알고리듬’을 많이 사용해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은 복잡한 데이터를 비슷한 종류끼리 분류할 때 아주 유용하게 쓰입니다. 예를 들어 ‘생일 축하합니다~♬’ 노래는 코드로 나타내면 ‘CCDCFE’로 쓸 수 있습니다. 이 코드를 다음과 같이 1개씩, 2개씩, 3개씩 연속한 코드로 묶어 가능한 조합을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게 해 준다.라이다 센서는 고성능 카메라와 결합해 큰 시너지를 낸다. 카메라는 물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 능하고, 라이다는 물체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IT기업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사업부 웨이모가 이런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웨이모는 지난해 1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방법입니다. 시개의 앞쪽 세포와 뒤쪽 세포는 각각 분비하는 안내 신호의 농도와 종류가 다르니 망막 신경절 세포가 어떤 신호에 반응해 자라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좀 더 세밀하게 망막 신경절 세포의 성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막 카펫에 농도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농도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