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피해자인 김진수 사원은 혼나지 않으려고 최선을 다했고, 사전에 우리 팀장님과 어떤 절차가 필요한지도 우리 팀 양소라 사원이 상담했어요. 한 사람의 증언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목격자입니다. 이건 그냥 증거일 뿐이에요. 데이터라고요.모아서 쓰리 아웃이라. 외할머니의 사진에서 잘려 나간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종족 스스로의 우월함을 깊게 신봉하면서 다시 한 마음 한 뜻으로 뭉칠 수 있을 것이다.3차전을 준비하면서 우리우리스 위원회는 혹시 모를 싸움의 여파가 외부에 영향을 최대한 미치지 않도록 경기장을 초공간 지대에 두도록 했다. 특수 우주선을 통해서 접근하지 않으면 아무도 올 수도, 갈 수도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크기가 작을수록 산소와 닿는 표면적이 넒어져 산화반응이 빨리 일어나거든요. 핫팩을 세차게 흔들수록 산소를 더 빨리 접촉하게 되고, 몇분 안에 30℃에서 최대 60℃까지 열이 오릅니다. 또 함께 들어 있는 소금과 활성탄은 산화반응을 빠르게 해 주는 촉매 역할을 한답니다.그러나 핫팩을 사용할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 같은 일상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잘 대답할 수 있었지만, 누군가 상처를 받을 수 있는 차별이나 혐오 발언 등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양이 너무 많고 알고리듬이 복잡해 사람이 예측하지 못한 부분이 나타난 것이죠. 이때 선택지를 결정하거나 답을 내린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으로 나옵니다. K2 소총의 총알 속도인 초당 약 0.96km에 비교하면 굉장히 빠르죠? 차세대중형위성은 정밀 지상관측이 임무이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저궤도(250~2000km)에서 지구를 관찰합니다. 지구와 가까울수록 중력이 커지기 인공위성이 낙하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만큼 더 빠른 속도로 움직이며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19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시한 ‘푸앵카레 추측’은 ‘끊긴 부분이 없이 닫힌 3차원 다양체는 구면과 위상동형이다’라는 내용 ...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위상수학의 세계! 여러분이 수학자가 돼 아직 완벽히 풀리지 않은 4차원 다양체의 비밀을 파헤쳐보는 것은 어떨까요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것도 우연은 아닐 겁니다.그러나 시에르핀스키의 일생에 수학만 있던 것은 아닙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폴란드-소련 전쟁에서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육군 암호국 소속으로 소련군의 무선 암호통신을 해독하는 일을 했습니다. 전쟁 기간 그는 동료 수학자들과 약 100여 개의 소련군 암호를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9 예방접종 대상 중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은 제외돼 있습니다. 언제 맞을지 아직 결정조차 되지 않았죠. 소아, 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역시 7월 이후에야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는 트랜지스터(MOSFET)를 연결했습니다.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마쳤으니 증폭할 차례입니다. 변압기가 필요합니다. 전압을 엄청나게 높여주는 장치죠. 키쿠 님이 길을 걷다가 눈이 마주쳤다는 2005년산 컴퓨터 모니터가 희생됐습니다.모니터 안에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라는 변압기가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어제부터 방독면 없이 출근하기 시작했다. 5월 말까지만 해도 공기 중에 꽃가루가 많아서 자전거를 타고 움직일 때 방독면을 써야 했다. 방독 ... 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어렵겠지만 50년 뒤에는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차릴 확률이 70% 이하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