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천장에 달린 특수 카메라가 움직이는 드론을 촬영해요. 1초당 수백장을 찍는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면 아주 미세한 흔들림도 포착할 수 있지요. 드론의 조종 방법이나 이동 속도 등을 다르게 해서 상자를 운반해 보고, 상자가 가장 덜 흔들리는 방법을 찾는 거예요.” 친구들은 드론이 상자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전화의 카메라로 비추자, 벽에 그려진 그림 위로 둥둥 떠 다니는 정육면체가 나타났지요. 카메라가 벽에 그려진 그림을 인식해 화면에 정육면체를 띄운 거예요. 민준 친구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을 체험한 뒤, “진짜보다도 더 진짜 같아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답니다. 기술 2. 드론, 사람이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탐사에 필요한 기술을 검증하는 데에 쓰였어요. 진짜 위성을 쏘기 전에 위성의 배터리나 카메라 등을 큐브샛에 담아 우주로 쏘아올린 뒤, 우주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거예요. 큐브샛은 만드는 비용이 다목적 위성보다 약 1000분의 1 정도로 적게 들어요. 따라서 실험을 여러 번 하거나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것만으로도 빠르게 공장의 기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또 깊이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이용해 기계를 분별하거나 공장 관리자들의 신원을 확인할 수도 있지요. 이렇게 실시간으로 산업 현장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게 되면 정전이나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수심 8178m에서 사는 심해어가 발견됐어요.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JAMSTEC)의 연구팀은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 관측 장치로 심해어를 촬영하는데 성공했답니다. 미끼로 고등어를 단 관측 장치를 8178m까지 내려보내 17시간을 기다린 끝에 심해어 한 마리를 촬영할 수 있었지요. 이 심해어는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나섰어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경로에서 스마트폰과 망원경, 카메라를 들고 있다가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순간을 담았지요. 이 사진들을 ‘이클립스 메가무비2017’ 앱에 올리면 개기일식이 미국 대륙을 통과한 경로와 시간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이어붙이게 돼요. 90분 간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코로나그래프에 들어가는 관측장비의 성능을 시험했어요. 광학 시스템과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했지요. 전 관측장비의 필터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해 개기일식을 관측하였습니다. Q. 코로나그래프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는 ...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Q. 로키 레고 런처로 무엇을 관측하나요?우리 우주선에는 태양 전지판, 각종 센서, 카메라, GPS 추적기 등이 달려 있어요. 그래서 기구를 타고 높이 23km~30km까지 올라가며 온도와 압력, 속도 등을 관측하고 사진을 찍지요. 지난 8월 21일에는 NASA와 함께 기구를 띄워 개기일식을 관측하기도 했어요.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밖에 서 있는 사람이 스마트폰으로 조종할 수 있는 원격조종로봇이에요. 몸체에 장착된 카메라가 와이파이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있거든요. 이렇게 비키를 활용하면 물 속에 들어가지 않고도 최대 수심 60m까지 촬영할 수 있답니다.비키가 물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비결은 바로 ... ...
-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카메라의 전원이 꺼지기 때문이지요. 이때는 주변 온도보다 체온이 더 낮기 때문에 카메라를 겨드랑이에 끼우면 온도를 낮출 수 있어요. 이 방법으로 잠깐 전원을 들어오게 한 후 재빨리 사진을 찍어야 한답니다.” 작가님은 사진을 보여 주며 설명을 이어갔어요. 2m가 넘는 개미집부터 수세미를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