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밀"(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안섬보배, 소금박물관을 다녀와서!기사 l20180403
- 소금 만드는 과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바닷물을 끌어올려서 염전에 말립니다. 이런 식으로 대파라는 밀걸래같이 생긴 도구로 밀어서 말리면 천일염이 완성됩니다. 이처럼 소금은 사람과 생명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여러분들도 신안군 증도 태평염전에서 소금장인들이 지켜온 자연의 선물 천일염과 아름다운 증도의 자연을 ...
- 전병에 대하여포스팅 l20180226
- 먹는 음식입니다. 살짝 매울 수 있지만 그것이 전병만의 특유의 맛 이라고 생각 합니다. 전병은 중국에서 시작하였다고 하며 지금은 매밀이 많이 나오는 강원도에서 주로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제 기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돼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유민영 기자였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
- 드래곤처럼 생긴 도마뱀들기사 l20180220
- 편 입니다. 미국에서는 팔긴 하는데 가격이 1500달러 정도로 매우 비싼 편 입니다. 만일에 대비해서 먹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먹이,밀웜이나 귀뚜라미. 2.거들 테일 아르마딜로 리자드. 서식지는 남아프리카 사막이며 크기는 20cm정도 되는 소형종 이에요. 평균 수명은 10년 정도이며 먹이는 곤충,작은 도마뱀,설치류 ...
- 매력적인 나의 비어디드래곤기사 l20180216
- ) 그리고 전 먹일 줄 때 이 핀셋을 사용해요^^ (위 그림)왼쪽거는 오른쪽 핀셋이 오기 전 쓰던거에요. 그리고 성체 때는 슈퍼밀웜,큰 밀웜을 먹이고 채소를 위주로 먹여야 해요. 바닥재는 웬만하면 신문지나 휴지를 깔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모래를 삼킬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도 모래를 깔고 싶으신 분은 모래를 깔아도 좋습니 ...
- 밀웜이 지구를 구한다?기사 l20180129
- 안녕하세요. 정주원 기자입니다. 이번에는 밀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제목에 밀웜이 지구를 구한다? 라고 되어 있는 그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 스트로폼은 썩는기간만 500년이 걸립니다. 썩는 동안 주변의 땅도 썩어 ... 사람들이 고기를 먹을려고 소를 키웁니다. 근데 소가 방귀, 트름을 껴서 공기에 피해를 줍 ...
- 피자 만드는 방법!기사 l20180127
- 보았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맛있어서 여러분께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밀가루를 뿌리고 반죽을 밀대로 밉니다. (반죽은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자팬에 담아줍니다. 2.스파게티 토마토 소스를 반죽에 발라줍니다. 3.토핑(야채 등)을 썰어줍니다. 4.토핑을 반죽에 뿌려줍니다. (저는 ...
- 우리 몸은 우리가 지킨다!기사 l20180110
- 구성하는 단백질이 에너지로 쓰이는 것을 막아 멋있는 근육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음식으로는 쌀, 보리, 밀, 고구마, 감자, 등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다음은 지방입니다. 지방은 피부 밑 쪽에 층을 형성하여 우리 몸의 체온을 유지시켜 주고, 몸속 장기를 보호해주죠. 또한 지방은 농축된 에너지원이어서 적은 양으로 많은 에너 ...
- 전갈에 대하여기사 l20180106
-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사는 극동전갈등은 일반 밀웜을 먹고 몸의 길이가 20cm인 자이언트 블루전갈은 슈퍼밀웜 등을 먹습니다. 근데 밀웜이 전갈보다 크면 전갈이 죽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3.사육방법은 사막 모래를 마트에서 구입합니다. 모래를 4cm두께로 부은 다음, 컵으로 어두운 곳을 만들어 줍니다. 전갈은 야행성 ...
- 멸종위기 동물기사 l20171212
- 동물은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병을 치료하는 의약품의 40%는 모두 천연 화학물이라고 합니다. 그다음 인간은 세계 식량 중 90%를 밀과 옥수수 등 20여종의 작물로 부터 얻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동물의 고기는 단백질과 지방 등을 섭취하는 데 중요한 식품입니다. 식물과 동물은 깨끗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식물은 공기를 맑게 하고 ...
- (강해밀) 데니스홍 박사님과 함께한 로봇 전시회기사 l20171119
- 친구들은 언제 로봇에 관심이 생겼나요? 저는 2년 전 태권V박물관에서 한재권박사님의 강연을 듣고 로봇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요. 이번에 데니스 홍 박사님의 로멜라연구소 로봇에 대해 설명하는 전시회가 열린다고 해서 기대를 품고 참여했어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