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09
풍족한 에너지를 누리게 되는 날은 언제쯤일까? 우주에서 생산한 전기에너지1968년
미국
의 물리학자 피터 글레이저 박사가 처음 제안한 우주태양광발전 송수신장치 모형이다. 우주에서는 태양빛이 지상보다 훨씬 강하고 날씨와 밤낮에 구애받지 않아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지구궤도에 ... ...
세게 때릴수록 좋은 야구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아항〜! 여기가 바로 야구장이라는 곳이구나. 예쁘게 생겼는걸. 그나저나 야구공이 여기까지 날아오다니 특수제작된 고탄력 방망이를 개발한 게 틀림 ... 방망이로 때린 공이 끝없이 날아갈 수 없다. 공을 가장 멀리 보낸 공식 세계기록은 1953년
미국
메이저리그의 미키 맨틀이 기록한 172m다 ... ...
간질 간질 알레르기, 비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많아지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가 더 많이 생긴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어요.
미국
농무성의 과학자들이 알레르기성비염을 일으키는 두드러기쑥의 꽃가루 양과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꽃가루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답니다. ... ...
물 속에서도 숨쉬는 벼
과학동아
l
200609
보관돼 있던 오래된 인도 벼 품종 FR13A에서 물 속에서도 견디는 유전자를 발견해 이를
미국
에서 널리 재배되는 M202 품종으로 옮겼다.그 결과 새 품종은 물 속에서 2주 동안이나 견딘 것으로 알려졌다. 보통 벼는 물 속에 잠기면 1주일을 견디지 못하고 죽는다. 맥킬 박사는 “옛 인도 벼에서 발견한 ... ...
화성에는 과산화수소 비가 내린다
과학동아
l
200609
7월호에 발표했다. 과산화수소는 살균제나 표백제의 원료로 쓰이는 물질이다.1976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보낸 바이킹호가 화성의 표면에서 어떠한 생명체의 징후도 발견하지 못한 이래, 과학자들은 화성에 토착 생물이 없다 하더라도 혜성이나 운석에서 떨어져 나온 유기분자조차 발견되지 않는 ... ...
달 용암굴에 집을 짓자
과학동아
l
200609
폭 1km의 ‘하들리 열구’는 용암굴이 부분적으로 붕괴돼 생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이 다시 진행되면서 달의 용암굴을, 우주인을 우주 방사선과 운석으로부터 지켜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마돈 박사는 “달 표면에 운석을 ... ...
비만 막는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0609
오사카시립대 연구팀은 쥐를 이용해 비만을 줄이는 백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3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이 백신은 식욕을 촉진하거나 지방을 축적시키는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방법으로 비만을 방지한다.연구팀은 그렐린의 전체나 ... ...
화산이 폭발할 때 음악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09
들을 수 있는 가청진동수로 바꾸자 어떤 부분은 마치 피아노 곡처럼 들렸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공대의 브루스 워커 박사는 “눈으로 여러 정보를 한꺼번에 보면 헷갈리기 일쑤지만 귀로 들으면 잡음 속에서도 특정한 패턴을 구분하기 쉽다”며 “이번 연구로 정확한 화산폭발 시점을 밝힐 수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09
연구되는 세포인 헬라(Hela)세포는 성기육종 세포와 비슷한 면이 있다. 이 세포의 주인인
미국
흑인여성 헤늘리테타 랙스(Henlitetta Lacks)는 이미 1951년 자궁경부암으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녀의 이름에서 따온 헬라세포는 현재까지도 세계의 시험관에서 엄청난 양이 분열하고 있다.성기육종 암세포는 ... ...
공 위에서 중심 잡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09
바퀴가 아닌 공을 타고 움직이는 로봇이 개발됐다. 지난 8월 11일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카네기멜론대 랄프 홀리스 교수팀이 어지러운 방에서도 한결 자유롭게 이동하는 로봇인 ‘볼봇’(Ballbot)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이 로봇은 금속으로 된 축구공 크기 공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