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두꺼운 패딩 필요없다패딩을 입을 정도로 한국이 정말로 추운 것은 아닐까. 러시아, 미국 중북부, 캐나다, 몽골, 북유럽은 겨울 철에 최고 영하 20℃ 이하로 내려간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이런 영하 수십℃ 이하의 극한 추위에 대비하기 위해서 후드가 있는 다운 파카, 두 겹의 바지, 내복, ... ...
- [Hot Issue] 가마에 오르면 사람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상대방에게 내 뜻대로 유형 또는 무형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힘으로 정의된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심리학자 애덤 갈린스키의 실험을 하나 살펴보자. 갈린스키는 참가자를 갑(甲)과 을(乙) 집단으로 나눴다. 갑 집단에게는 누군가에게 명령했던 경험을 떠올리게 하고 을 쪽에는 반대로 ...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런데 도시에 사는 곤충들도 음식물 쓰레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사람들이 뉴욕시의 공원과 거리에 여러 가지 음식물을 두고 조사한 결과, 뉴욕 브로드웨이 도로에 사는 곤충들이 1년에 약 935kg의 음식물 쓰레기를 먹어치운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이 양은 비둘기 한 마리가 1년에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물질 하나로 굴절률을 조절해 투명 망토를 더 쉽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2014년 9월 미국 로체스터대 조셉 최 연구원은 렌즈를 이용해 ‘로체스터 망토’를 만들었어요. 굴절률이 정해져 있는 물과 달리, 렌즈는 굴절률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거든요.최 연구원은 볼록 렌즈가 거리에 따라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크게 기뻐하며, 이 기술을 요리에 본격적으로 적용해 보기로 결정한다. 레이시온은 미국 보스턴의 한 레스토랑에 이 기계를 설치해 다양한 실험을 했고, 1947년 마침내 첫 번째 전기 오븐(전자레인지)인 ‘레이더레인지’를 출시한다. 레이더레인지라는 이름은 내부 직원 공모 당선작이었다. ...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다르다. 타율로 타자를 평가하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 만지는 격이라는 것이다.2001년 미국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한 신인 선수가 ‘타율 논쟁’에 불을 붙였다. 이 선수는 첫해부터 신인왕과 MVP를 동시에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2004년에는 262개의 안타를 치며 메이저리그 역대 최다안타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1차 소비자의 종류도 바뀌거든요. 그런데 요즘에는 가죽나무를 포함해 리기다소나무, 미국자리공, 가시박 등 외래종 식물이 마구 늘어나고 있대요. 이런 외래종 식물보다 우리나라에서 오래 살아온 ‘자생종’ 식물을 많이 심는 건 어떨까요? 자생종은 특히 꿀벌에게 큰 도움이 돼요. 꿀벌은 꽃의 ... ...
- [수학뉴스] 계산 실력이 미래의 지갑 두께를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당장의 수학 성적뿐 아니라 미래의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와 스웨덴 고텐버그대 공동 연구팀은 계산 실력과 수에 대한 자신감이 가치를 평가하거나 돈을 쓰는 데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111명을 대상으로 계산 실력을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A 슈퍼컴퓨터 제작사는 대부분 미국 기업이에요. 상위 500개의 슈퍼컴퓨터 중 85% 정도가 미국에서 만들어지죠. 이 밖에 프랑스, 일본 등도 슈퍼컴퓨터를 만듭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사 쓰죠. 2~3년 전까지만 해도 슈퍼컴퓨터를 직접 만드는 프로젝트가 있었지만, 지금은 중단됐어요. 과학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파망원경을 결집해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실물 사진을 촬영하는 프로젝트인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들이 앞장서서 진행하고 있다. 제곱킬로미터배열(SKA)거대전파망원경을 이용한 중력파 연구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4년까지 호주와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전파망원경 3000개를 ... ...
이전5665675685695705715725735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