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기초가 되는 상대성 원리를 만족시키지 않는다따라서 속도가 광속도에 비해 훨씬
작은
입자계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상대성원리의 기본 요구를 만족시키는 역학 뉴튼역학은 질량과 에너지의 등가성의 원리를 포함하여 빠르기 v가 진공 내의 광속도 c에 비해 충분히 작을 때는 근사적으로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가속기가 이처럼 빛을 만드는 이유는 뭘까.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체를 보기 위해서다. 특히 이곳에서 만들어진 X선을 이용하면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생명과학자에게는 가속기가 생체분자의 3차원 구조를 볼 수 있는 거대한 현미경인 것이다.2009년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종이 위의
작은
구멍으로 통과시켰다. 그렇게 얻은 단색광을 또 다른 검은 종이 위의
작은
구멍으로 통과시켜 두번째 프리즘을 지나게 했다. 그랬더니 두번째 구멍을 통과한 빛이 보라색이면 붉은색보다 더 많이 꺾여 마지막에 놓아둔 스크린에 색이 나타났다. 뉴턴은 이 실험으로부터 프리즘을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가뿐히 들 수 있을 만큼 가볍다. 섬의 군데군데에는 마그마가 흘러내렸던 흔적이 마치
작은
동굴처럼 남아 있다.갈라파고스 제도는 나스카 해양판이 떠받치고 있는데, 이 판은 1년에 약 1cm씩 남동쪽으로 움직인다. 나스카판 동쪽에 맞닿아 있는 남아메리카 대륙판은 반대로 서쪽으로 이동한다. 두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처진 모양이 되듯이 큰 별 주위는 별의 중력 때문에 시공간이 굽는다.굽은 고무판 위에
작은
구슬을 굴리면 그 구슬이 굽은 면을 따라 굴러가듯이 큰 별 주위에서는 별의 중력에 의해 물체가 끌려간다.굽은 시공간에서는 어떤 물체도 예외일 수 없다. 빛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빛이 직선으로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닭 몸통의 맨위쪽에 있는 파란빛 깃털에 남아 있다. 깃털뿐 아니라 머리도 파란빛이다.
작은
은하가 큰 은하에서 파란빛을 내는 부분을 뚫고 지나간 것이다. 파란빛을 내는 천체들은 모두 충돌의 결과로 잉태돼 갓 태어난 별들이다. 닭의 깃과 머리에서 파랗게 빛나는 별들은 충돌의 아픔을 딛고 ... ...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이디어는 지금의 이상엽 박사를 만든 원동력이자 뽀빠이의 시금치였답니다. 아주
작은
박테리아에서 커다란 과학의 결실을 맺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는 뽀빠이 박사. 우리도 시금치 먹고 노력이라는 커다란 힘을 발휘해 볼까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은하가 크면 클수록 중심의 블랙홀도 더 크다는 사실입니다. 우리은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은하여서 그런지 중심에 우리 해보다 약 2백만배 더 무거운 블랙홀을 가지고 있답니다. 천문학자들은 아직까지도 은하가 먼저 만들어지고 그 다음에 블랙홀이 만들어졌는지, 블랙홀이 먼저 만들어진 다음에 ... ...
소녀를 사랑한 청둥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낯선 공간 속에서도 오리짱은 무럭무럭 잘 자라났습니다. 다행이 채원이의 집에는
작은
마당이 있어서 운동도 충분히 할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채원이의 여름 방학이 끝나자 문제가 생겼어요.질투의 화신 오리짱채원이는 초등학교 2학년. 여름 방학이 끝나자 아침마다 학교에 가는 생활이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그럼 탄소나노튜브란 무엇일까요? 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탄소 성분으로 된 엄청나게
작은
관 모양의 무엇을 말하는 것이겠죠? 정말 생각해 내기도 쉽지 않은 이런 탄소나노튜브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물리학자가 바로 이번 호 스타과학자의 주인공, 임지순 박사랍니다.사실 탄소나노튜브를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