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내내 물을 갈아주지 않아도 되는 수족관이 개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정수장비 전문기업
작은
연못이 개발한 아쿠아블은 스스로 자정 능력을 갖춘 ‘테이블형 수족관’.물갈이가 필요 없고 이끼가 끼지 않아 청소를 하지 않아도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며 증발량만큼만 물을 보충해 주면 된다. 또한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구성하는 대표적인 암석은 화강암이기 때문이다. 단 큰 규모의 화강암 덩어리가 아니라
작은
조각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울릉도 해저에 거대한 대륙지각이 있다고 확신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만약 실제로 동해 해저에 대륙지각이 만들어지고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오랜 지질시대가 지난 후에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를 다시 방출하는데, 이것이 흑체복사다. 당시 물리학자들은 전기오븐이나 공동의
작은
구멍에서 나오는 흑체복사를 설명하려고 부단히 애를 썼다.1859년 독일의 물리학자 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최초로 흑체복사를 설명하는 키르히호프 법칙을 발표했다. 흑체복사를 분광기로 보면 각 파장에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렙-4 오각형이기도 하다(그림 1). 같은 요령으로, 6×9=54 개의
작은
정삼각형으로 스핑크스를 나눴다가 다시 6개의 정삼각형을 모으면 스핑크스가 렙-9 도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2).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퍼즐 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른쪽 도형 또한 렙-4(그림 3)면서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면 이러한 위험을 더 잘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
작은
단백질을 조합하는 것이 더
작은
RNA를 유지할 수 있어 세포 입장에서 보면 훨씬 경제적이다.인간과 같은 고등동물에서는 단백질 사이의 네트워크와 조절 작용이 매우 복잡하게 이뤄진다. 여러 개의 단백질이 조합으로 모여 기능을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사 연구실에는 윌킨슨, 어번, 하스 박사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작은
단백질을 연구하고 있었다.유비퀴틴은 1975년 당시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었고 흉선에서 최초로 분리됐다. 과학자들이 흉선 이외에 어디에 이 단백질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모든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역전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1년부터
작은
크기의 다양한 small RNA(sRNA)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에 여러 형태로 관여해 세포의 기능을 총괄 조정하는 지휘자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RNA 연구는 급물살을 탔다. 이런 조류를 반영하듯 세계적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보통 원자의 크기는 0.1-0.5nm(1nm=${10}^{-9}$m)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자간 간격이 매우
작은
박막이나 나노분말의 경우 X선처럼 파장이 0.01-1nm 정도로 짧아야 정확한 구조분석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XRD가 단백질 결정 연구 등 나노 수준의 물질 연구에서 기본 장비로 활용되는 추세다.조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직접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며 관찰하고 사색한 내용이다. 개인의 삶과 철학, 일상의
작은
일들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는 2권의 책은 ‘생태학’의 긴장감을 잃지 않을까 염려하는 저자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읽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생태학의 세계로 안내해준다.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강성철 박사팀이 개발한 것으로 길이 74cm, 너비 47cm, 높이 29cm로 라면박스 정도 크기의
작은
로봇이다. 경사가 45도에 달하는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도 최대 시속 12km로 달릴 수 있다. 올해 4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로봇경진대회에 참가했다. 현재 자이툰 부대에는 롭해즈와 함께 미국산 대형로봇인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