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오염사고와 비교해 보면 상당히 대조적이다. 라인강 오염사고는 스위스의 바젤시 부근에
위치
한 공업지역에 있는 90× 50m 크기의 화학물질 창고 화재가 원인이었다. 이 창고에는 농약, 유기용매, 염료 등 1천3백t 이상의 각종 화학물질이 적재되어 있었는데, 화재 진압을 위해 사용한 소방용수가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밝게 보이는 이유는 우리은하의 중심이 이곳에 있기 때문이다. 은하 중심의 정확한
위치
는 주전자의 입에 해당하는 감마(γ)별의 북서쪽으로 약 4 (도) 떨어진 곳-경(RA) 17h 40m, 적위(Dec) -29 , 거리는 3만 광년-이다. 찻주전자의 입근처에 보이는 밝은 성운들을 바라볼 때 우리는 은하의 핵을 똑바로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벌집구조를 갖는 육각형의 고리로 이뤄진 2차원의 판상 결정구조를 갖는다. 같은 평면에
위치
한 탄소사이의 결합은 강하나 위아래로 배열된 이들 판상구조 사이에는 반 데르 바알스(van der Waals) 인력으로만 연결된 아주 약한 결합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판상구조사이의 약한 결합력 대문에 이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0과 1 사이의 모든 초기값에 대해 궤도는 마찬가지로 같은 끌개로 수렴한다. 다만 끌개의
위치
가 X=0.5가 아닌 그 근처로 조금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A의 값이 어느 수치 이상 커지면 상당히 다른 궤도의 운동을 볼 수 있다. 가령 A=3.2로 주고 어떤 초기값에 대해 본뜨기를 반복시키면 초기값에 관계없이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한다. 이곳은 현재까지는 가장 안전한 착륙지점이긴 하지만 더욱 안전한 곳이 있는지를
위치
탐사로봇이 찾고 있다. 실제로 아르테미스 계획은 존슨우주센터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2월/황혼의 랑데부달에 드리운 지구의 그림자 사이로 햇빛이 비추고 있는 가운데 핵연료운송선이 달착륙선과 도킹을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플라스틱이 많은 부분 철을 대신하기도 하지만 아직도 철은 인류 문명의 뿌리로서 그
위치
가 확실하다고 할 수 있다.청동기시대를 지나 철기시대가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인류는 철을 얼마만큼 잘 다루었느냐에 따라 그 문명의 성쇠가 판가름났다고 할 수 있다. 쇠를 잘 관리한 나라는 비약적으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형광램프보다 작게 만들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높다는 점도 E램프의 자랑거리. E램프의 스
위치
를 켜면 깜박거림없이 1초 이내에 불이 켜진다. 형광램프는 약간 온도가 올라간 뒤에 (시간이 조금 지체된 후에) 점등되는데 반해 E램프는 차가운 상태에서도 즉시 빛을 내게 되는 것. 향기나는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퍼즐의 그림을 제시한다. 그리고 주위에 비슷하지만 또 다른 퍼즐의 조각들을 분리시켜
위치
를 바꾸어 놓는다. 이 시험의 주된 아이디어는 이렇게 놓여있는 조각들중에서 원래의 퍼즐 그림에 맞는 조각들만 골라내는 것이다. 화가와 엔지니어 그리고 많은 의사들까지도 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과 같다. 우리가 살고있는 태양계는 은하중심으로부터 약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하고 있다.이렇게 얇은 원반모양의 분포를 하고 있는 별들 중 탄생된 지 얼마안된 젊은 별들은 원반에 균일하게 분포돼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영어의 S자를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나선모양의 분포를 하고 있는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것보다 훨씬 고차원의 세계였다. 호킨스의 설명에 의하면 스톤헨지의 여러 기둥의
위치
와 별자리는 모두 깊은 관계가 있어서 그 시대 사람들은 별이 빛나는 밤에 스톤헨지에 와서 오늘이 몇월 몇일인지 척척 알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그러니 요즈음 개념으로 본다면 스톤헨지는 고대인들의 ... ...
이전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