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 이름정리]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뱅글뱅글 돌고 있다면 지수가 1, 즉 가마가 한 개 있다면 벡터장 지수의 합은 1이지요. 지수가 2일 때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원이 양쪽에 2개 있을 때입니다. 구 위에 나타나는 쌍가마동글동글 종족처럼 동그란 구는 오일러 지표가 2입니다. 푸앵카레-호프 정리에 의해 벡터장의 지수도 2이기 때문에 ... ...
- [전지적 수학 시점] 리그오브레전드, 아이템 속 백분율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공격력이 30이면 30-1=29만큼만 피해를 입지요. 워크래프트3에서는 백분율을 써서 방어력 1마다 피해를 6%만큼 줄입니다. 즉, 상대방 공격력에 0.94(94%)를 곱하면 됩니다. 방어력이 2면 30×(0.94)2=26.508만큼 피해를 입겠죠?머리 아프다고요? 롤은 더 복잡합니다. 상대방의 방어력을 낮추는 ‘관통력’도 ... ...
- 황윤섭 경희대 입학처장 - “잠재력과 가능성이 최우선 기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전형 가운데 유일한 실기우수자전형이다. 1단계는 서류평가로 진행하며, 2단계에서는 1단계(70%)에 특기재평가 점수(30%)를 더해 최종적으로 학생을 선발한다.실기전형인 만큼 서류평가에서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 대한 활동 자료와 실적을 함께 제출한다. 다만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때는 각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한다.허 학과장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1년에 한 번씩은 자원개발 현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현장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재학생 전원이 국내 자원개발 현장을 경험하면서 자원개발이 어떻게 ... ...
- 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따라 적절한 크기와 종류의 보호덮개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또 2015년 산림청의 조사 결과 가로수에 부적절한 농약을 사용한 사례가 69%에 이르렀어요. 잘못된 농약을 사용하면 방제는커녕 오히려 가로수를 해칠 수 있답니다. 올해 6월부터는 전문 자격증을 지닌 ‘나무의사’가 도시의 ... ...
- 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새와 비행기가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나기 쉽지요. 그런데 몸무게가 1~2kg밖에 되지 않는 새가 어떻게 수십만 kg이나 되는 비행기를 고장 낼 수 있는 걸까요? 비행기는 시속 300~900km 정도로 매우 빨라요. 가벼운 물체도 이렇게 빠른 물체에 부딪히면 큰 충격을 가할 수 있죠. 실제로 시속 ... ...
- [에디터 노트] 우주군(軍)과 존 레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957년 옛 소련이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우주 공간의 무장화가 우려되자 유엔총회 직속 위원회로 ‘우주 공간 평화적 이용 위원회(CUPUOS)’가 설립됐다. CUPUOS는 ‘우주 공간 조약’이라는 국제조약을 결의해 살상무기 배치를 금지하고 ... ...
- [과학뉴스] 치매 조기 진단, 한국인 표준뇌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발생하는 미세한 손상은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단은 5년간 60세 이상 성인 1만여 명을 대상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정밀검진을 실시한 뒤, 그중 정상으로 판별된 1000여 명의 뇌를 MRI로 촬영해 연령대별 남녀 표준뇌지도를 만들었다. 이후 표준뇌지도를 바탕으로 환자의 영상 자료를 ... ...
- [과학뉴스] 수치심은 모든 인간이 갖는 본성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버라) 진화심리학센터 연구원팀은 에콰도르, 칠레, 그리스 등 12개국의 15개 소규모로 촌락에 사는 89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도둑질 등 12가지 행동 시나리오를 주고, A 그룹에게는 자신이 그 행동을 했을 때 느낄 만한 수치심 강도를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게 콘셉트였는데, 하다 보니 요즘은 10분을 넘기네요. 무조건 재미있게 만든다 제가 1분 과학을 만든 건 과학 전공자만 알고 있기에는 과학적 지식이 너무 중요하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사실 조금 충격적이기까지 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내용을 왜 아무도 얘기하지 않지?’라고 생각했죠. ... ...
이전568569570571572573574575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