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보기 위해 펄과 모래가 섞인 해저층을 수십 마이크로미터(μm·
1
μm는
1
00만 분의
1
m) 크기의 가는 체로 수차례 걸렀다. ‘노동’에 가까운 힘든 작업인데도 체험단은 지치지 않았다. 이들은 결국 걸러낸 생물을 3%의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로즈벵갈 색소로 염색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까지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교수팀이 7월
1
6일 이런 가설을 뒤집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doi:
1
0.
1
0
1
6/j.devcel.20
1
8.06.0
11
연구팀은 쥐의 배아를 유심히 관찰했습니다. 발달 중인 쥐 배아의 소장 두께는 개구리의 소장처럼 얇아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두꺼워 졌습니다. 두 겹의 세포층이 한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감지된 경우에만 로봇 손이 움직이도록 설정했다”고 설명했다.뇌손상은 발병 6개월~
1
년이 지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 힘들다. 하지만 김 교수는 이런 환자들도 재활로봇 치료를 꾸준히 받을 경우 기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 교수는 “뇌파를 이용한 재활로봇은 환자가 단순히 ... ...
[수학뉴스] ‘20
1
8 필즈상 수상자’의 연구는?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알려주셨답니다.숄체 교수와 피갈리 교수의 업적은 필즈상 예측 기사(필즈상 미리보기
1
월호, 3월호)에서 밝힌대로 ‘퍼펙토이드 공간’의 도입과 ‘최적 운송 이론’에 관한 것이었어요.강연 내용이 궁금한 독자는 네이버TV, 카오스재단 홈페이지에서 영상을 확인해보세요. 브라질 현지에서 필즈상 ... ...
Part
1
.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수가 나와야 해요.예를 들어 9로만 이뤄진 세 자릿수 999는 이 조건을 만족합니다. 9992=99800
1
이고, 998+
1
=999니까요. 이런 수를 특별히 ‘카프리카 수’라고 합니다. 999가 아닌 다른 카프리카 수를 찾아주세요! 지금 바로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 해당 게시물에 정답을 남겨주세요. 2명을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수학과 교수 연구팀이 In My Life의 원작곡자를 밝혔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20
1
8년 8월
1
일에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북미 통계학회에서 데이터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해 원작곡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In My Life의 작곡자는 98% 이상의 확률로 레넌이다. 매카트니가 이 곡을 ... ...
Intro. 블랙채플 연쇄살인 사건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수사 기술의 원리만큼은 확실히 기억하고 있으니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 혈흔 분석 기하학, 사건을 재건하다Part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 ...
경희대 네오프런티어장학생 유승윤 - “독하게 독서해 융합형 인재 어필”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말했다.마지막으로 그는 미래 후배들에게 격려의 말을 남겼다. “사실 저는 고등학교
1
학년 때 전교 50등 안에도 들지 못했어요. 하지만 3년간 끊임없이 노력하다 보니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더 이상 쏟아낼 수 있을까 생각이 들 만큼 최선을 다한다면 좋은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
0] 생태계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0
1
5년에는 세계
1
96개 회원국이 모인 제 2
1
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렸고,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해 자발적 온실 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신(新)기후체제를 마련했다. 에너지 전환과 효율적 이용에너지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 ...
[과학뉴스] 중생대에 살았던 초거대 어룡의 새로운 화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후기에 살았던 ‘쇼니사우루스’의 일종이라고 추측했어요. 쇼니사우루스는 몸길이가 2
1
m까지 자라는 큰 어룡이었거든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된 화석과 캐나다 로열 티렐 박물관에 있는 쇼니사우루스 화석의 턱뼈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연구진은 발견한 화석이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