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철이온이 3가(Fe3+)로 존재하는 상태다. 이 상태가 되면 산소를 운반하지 못한다.시
안
화수소가 몸에 침입했을 때 해독제를 주사하면 산소가 풍부한 헤모글로빈을 메타오글로빈 상태로 만들어 숨겨둔다. 독이 다른 물질과 모두 반응하고 나면 메타오글로빈을 다시 헤모글로빈으로 바꿔 숨을 쉴 수 있게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입자가 이들이다. 그러나 이 입자들은 대부분 다른 충돌 사건에서 나온 입자와 구별이
안
된다. 실제로 확인 가능한 것은 힉스 입자 100개 중 하나도 채 되지 않는다. 그래서 2010년 데이터로는 힉스 입자를 찾는 것이 불가능했다.LHC는 데이터의 양을 늘렸다. 현존하는 가장 큰 빅데이터라 할 만하다. 이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과격한 주장이다. 장소에 따라 물리학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구의 물리학과
안
드로메다 은하의 물리학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물리 법칙은 우주 어디에서나 그리고 어느 때에나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물리학을 부정하는 것이다. 다른 물리상수들도 달라질 수 ... ...
축구화가 내 코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봐 다소 걱정스러웠다. 일시는 3월 13일 저녁 8시 30분. 마감 중이라 몸을 혹사해서는
안
된다는 직업적인 사명감(이라고 쓰고 핑계라고 읽는다)으로 20분짜리 한 경기만 뛰기로 했다.경기장에 도착해서 슬슬 몸을 풀었다. 혹시나 감독님이 투입하지 않을까 봐 걱정은 됐지만, 잠시 기다리다 경기에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첨가물이 들어간다.임 연구원은 “식품첨가물로 허가를 받은 물질은 법적 허용기준치
안
에서 먹을 경우 인체에 해가 되지 않지만 반복해서 다량 섭취하면 해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사건은 모조치즈가 문제라기보다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거짓말을 했다는 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 ...
배신자 효소 파괴하는 저격수 효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항암제에 대한 내성, 재발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연구팀은 ‘뮬란’이 미토콘드리아
안
에서 활성화된 Akt를 분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뮬란은 Akt와 결합해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는 ‘유비퀴틴’을 내보냈다.
안
교수는 “뮬란은 이미 알려진 효소지만 Akt를 분해한다는 것은 처음 발견한 ... ...
내
안
에 고릴라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인간과 고릴라의 유전자 차이는 어느 정도일까. 불과 1.75% 밖에 다르지 않다는 분석 결과가 처음 공개됐다.애일윈 스컬리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어연구소 박사팀은 콩고 등 아프리카 서부 열대우림에 사는 서부저지대고릴라의 전체 유전체(게놈)를 분석하고 침팬지와 인간, 오랑우탄의 유전체와 비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 읽은 독자보다 오히려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체 요약본이 아니니
안
심하고 책을 찾아 읽기 바란다).이 책에는 이렇게 인간이 실수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가득하다. 헬스클럽 6개월 이용권을 끊어 두고 잘 가지 않는 사람이나, 글 쓸 때 오타를 자주 내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를 찾으면 된다. 그 값은 자그마치 10을 10122번 제곱한 수다. 이론적으로 우리 우주
안
에는 이만큼의 데이터(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우주는 곧 데이터다.이제 아득한 데이터유니버스의 끝이 보이는 것 같다. 하지만 마지막의 마지막이 하나 남았다. 우주가 여럿 존재할 수 있다는 다중우주론이다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러나 본능적인 소유욕을 부추기는 다이아몬드에 얽혀 있는 과학적 명제는 오랜 세월 동
안
일관되게 인간의 탐욕 대상이었던 만큼 분명하다. 그 명제는 바로 1000℃가 넘게 열을 가하면 시커먼 흑연처럼 산화하는 탄소 덩어리가 다이아몬드의 과학적 실체라는 사실이다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