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추측됩니다. 특별한 목적이 있는 극소수 사용자만이 접속
가능
합니다. 해외에서 접속하기도 어렵습니다. ‘우리민족끼리’, ‘조선의 오늘’ 등 정치 선전을 위한 사이트는 남한을 제외한 해외에서도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2015년에는 상업용 인트라넷이 개방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병이 났다는 뜻이다. 특히 전혀 왕래가 없던 간이나 췌장에서 오는 소식은 심각한 얘기일
가능
성이 높다. GIB 제공 내부 장기 가운데 그나마 자주 소식을 전하는 게 위(십이지장 포함)다. 올해로 쉰인 필자 나이쯤 되면 위의 소식을 몇 번은 접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소화계가 약한 필자는 평소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않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설령 불
가능
하다고 밝혀 지더라도 왜 불
가능
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호킹은 자서전의 마지막 문장을 이다지도 담백하게 끝냈다. 확실한 건 호킹이 남긴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문제였다. 일단 비행기 선택부터 쉽지 않았다. 대한항공의 일부 기종, 그것도 1등석만
가능
했다. 학회장까지 이동하는 것도 문제였다. 당시에 출시돼 있던 승합차에는 그의 휠체어가 들어갈 수 없었다. 다행히 현대자동차의 2000년 신형 모델이 내부 공간이 크게 제작됐다는 얘기를 듣고 협찬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있다. 이런 행동실험을 한 뒤 뇌를 꺼내 해마를 살펴봐야 하는데 사람에서는 불
가능
한 얘기다. 그럼에도 사람에서 성체 신경생성이 일어나므로 이런 현상도 일어날 거라고 봐도 무리가 없다는 논리다. 게다가 1998년 논문에서 신경생성이 관찰된 다섯 명의 평균나이는 64세였다! 180도 다른 결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덫에 먹이감으로 놓여진 상황일 수 있다는 것이다. 5. 끊임없는 감시 이 모두를
가능
하게 하는 요소로 관심을 빙자한 ‘감시’가 있다. 끊임없이 전화해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고 피해자가 사사건건 자신의 행적을 보고하게 만든다. 아이들이 있는 경우 ‘오늘 엄마 어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한 달 정도 걸린다. 따라서 표피에 문신을 새긴다면 길어야 한 달이다. 물론 이런 일은 불
가능
하거나 무척 어려운데 표피의 두께가 0.1m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표피 아래가 진피로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두께가 1mm 내외다. 진피에는 표피와는 달리 모세혈관이 분포한다. 즉 찰과상을 입어 피가 나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제기돼 왔다. 그러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해 암을 치료한다는 원리는 이론적으로
가능
한 이야기지만 당시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그로부터 약 100년이 흐르고 난 최근에 들어서야 효과를 보이는 면역항암제 연구가 속속 발표됐다. 그 중에서도 ‘T세포’를 이용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
2018.03.24
식의 직접적인 인신공격이 아니더라도, 좀 더 은근한 방식으로도 불신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
하다. 그 한 가지가 어떤 행위를 통해 저 사람이 ‘이득’을 보게 될 것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모 회사가 어떤 행사를 통해 수익의 50%를 자선단체에 기부한다는 이야기를 해준다. 또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논문의 범위인 2025년까지는 전기차용 코발트 프리 배터리가 나올
가능
성은 낮아 보인다. 필자는 얼마 전 7년 동안 쓰던 노트북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새로 하나 장만했다. 고쳐 쓸까 하다가 배터리도 바꿔야 되고(충전해도 두 시간을 못 버틴다) SSD 용량도 늘려야 하는데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