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능"(으)로 총 6,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믿으며 오늘도 내일도 또 다른 폭력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이다. 성폭력이 만연한 사회를 가능하게 한 것은 다름아닌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따뜻한 관심과 보호라는 것. 현실이 이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범죄보다 특히 성폭력에 있어 눈 앞에서 고통받고 있는 피해자보다 ‘혹시라도 ...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2018.03.15
- 풀리지 않은 물리학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틀리고를 떠나, 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타진해 물리학계에 근원적이고 거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천체물리학을 알린 공로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출판한 ‘시간의 역사’는 전 세계에 1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지평선 조차 없으며, 블랙홀에서 양자역학을 위배해 정보를 잃은 입자가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양자중력이론, 초끈이론들이 발전하며 호킹의 블랙홀이론과 충돌하고 있지만 아직 어떤 해답도 찾지 못한 상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것”이라면서도 “거시적인 물체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고 시간여행은 영원히 불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고 쓰고 있다. 호킹은 2012년 런던 장애인 올림픽 개막식에서 연설하는 행운까지 누렸다며 “나는 알차고 흡족한 삶을 살았다”고 자평했다. 호킹은 “장애인은 장애가 걸림돌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에서 나온 축삭(axon)을 의미하므로 축삭생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공감각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가계11의 경우 공감각자들은 SLIT2와 ROBO3, COL4A1, SLC9A6 유전자의 변이를 공유했다. 이 가운데 앞의 세 유전자에서는 염기가 하나 바뀌면서 아미노산도 바뀌게 돼 변이 단백질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생각한다. GIB 제공 남성의 성욕은 통제할 수 없다는 인식 남성의 성욕은 통제가 불가능하며, 남성이 통제를 잃는데는 여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자신은 잘못이 없고 자신을 자극한 여성이 나쁘다는 사고방식이다. ‘남성은 짐승’ 류의 이야기도 위험한 짐승을 도발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있는 남성이 성폭력에 관대한 환경을 만나면 그렇지 않았을 때에 비해 성폭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성폭력은 이를 용인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실시하는 성교육에 제 3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성폭력은 이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시점이 최근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현생인류가 6만 4000년 전 이미 유럽에 존재했을 가능성 역시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다만 예술이 4만~5만 년 전에 갑자기 탄생했는지 혹은 이전부터 서서히 탄생했는지 논쟁이 있었는데, 후자를 지지하는 증거로는 볼 수 있다”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더 다이어트 성공확률을 높일까? 로이 바우마이스터 등의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자신과 싸워 이길 수 있는 능력은 인간답게 살기 위해 중요한 기술인 동시에 그 자체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아주 피곤한 일이기 때문이다(Baumeister et al., 2007). 최근 사회 및 성격심리과학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말미에서 “이번 연구의 발견은 다른 동물에서도 칼슘 이온의 맛이 불쾌하게만 감지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썼다. 사람과 초파리는 오래 전에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각자 미각 수용체를 진화시켰음에도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니 신기할 따름이다. 초파리는 혀가 없고 대신 ... ...
이전5705715725735745755765775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