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우선 KIST에서 이전에 없던 새로운 나노분말을 개발한다. 그러면 한양대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 이 분말을 플라스마 열원으로 제품의 표면에 녹여 나노구조로 코팅한다. 이를 ‘융사코팅’이라고 한다. 충남대에서는 앞서 연구팀에서 융사코팅을 제대로 했는지,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여러분의 가정에는 정수기가 있나요?이 질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실정이다. 이는 사회가 발전하면서 건강에 관심이 많아져 좀더 깨끗한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그러나 편안한 삶을 보장하는 산업발전은 환경파괴라는 부작용을 동반 ...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과학동아 l2003년 03호
- 가능성에 낙관적인 입장을 표했다.국내 생명윤리법 제정에 던지는 의미생명공학연구원 한용만 박사는 “인간배아복제가 현 단계에서 불완전할 수 있지만, 앞으로 과학기술의 진보에 의해 많은 한계들이 극복될 수 있지 않겠냐”며 조심스럽게 미래를 점쳤다. 예를 들어 2002년 4월 5일자 ‘셀’에 ... ...
- 2. 포탄 공격에도 끄떡없는 고성능 장갑차과학동아 l2003년 03호
-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인류 역사를 구분할 때 그 시대 사람들이 어떤 종류의 소재를 사용했는가가 기준이 된다. 소재가 그 시대의 산업형태, 주거양식, 전쟁하는 법 등 인간의 모든 생활양식을 결정짓는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그러나 컴퓨터가 발명되면서 1년이 걸려야 할 일을 몇시간 만에 ...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 바이오벤처기업 이머지 바이오 세러퓨틱스사 연구팀은 2001년 처음으로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돼지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마이너러티 리포트 - 비행기 납치범 제압하는 충격음파총서기 2050년. 워싱턴 DC 경찰인 존 앤더튼은 범죄 사전예방시스템 내에서 인지자들이 미래의 범죄를 미리 예측하면 그 범죄자를 추적, 체포하는 임무를 띤 ‘프리 크라임’ 부서에 소속해 있다. 어느날 그는 인지자들이 자신을 미래 살인자로 ... ...
- 암세포만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과학동아 l2003년 02호
- 6-7배 정도 더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또한 연세대 암전이센터와 화학연구원의 실험 결과에서는 기존 항암제로 치료가 어려운 위암세포와 비소세포, 폐암세포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손 교수는 특히 국내에서 발병률이 높은 위암세포에 새로운 항암제를 투여한 결과, ...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과학동아 l2003년 02호
- 2003년 브라운관(CRT) 발명 1백5년, TFT-LCD(Thin-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발명 30년이 되는 해다. 몇년 전만 해도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류를 이뤘던 브라운관은 이제 LCD와 PDP에 그 주도권을 내놓아야 할 형편이다. 실제로 2002년의 브라운관 시장은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50%이하이며,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실험실은 마치 시골 터미널 화장실에 들어선 듯 암모니아 냄새로 가득해졌다. 덕분에 연구원 한가운데 있던 실험실이 가장 외진 곳으로 밀려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현장에서 채취한 분뇨 샘플을 시간이 늦은 탓에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었다. 밤늦게 분뇨통을 들고 귀가한 박 박사는 혹시 실험 ...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과학동아 l2003년 02호
- 2002년 9월 3일 미국 애리조나주의 한 아마추어 천문가가 특이한 천체를 하나 발견했다. 밝기 16등급, 크기 20-30m. 그리고 1분에 한번씩 자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는 문제의 천체에 ‘J002E3’이라는 임시이름을 붙여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 보고했다. MPC에서는 알려진 소행성과 최근 발사된 ... ...
이전5715725735745755765775785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