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밝힌다.난치병 치료할 신약을 향해유 박사는 1987년 귀국한 이후 줄곧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과 인연을 맺고 있으며, 1999년에는 과학기술부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단장으로 선정됐다. 같은 해 국내학자로는 드물게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에서 매년 개최되는 세포주기 국제학술대회에 초청됐다. 200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은하였던 것이다.올해 7월 말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세대 윤석진
연구원
과 이영욱 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 동안 우리은하에서 나이가 가장 많다고 알려진 7개의 구상성단이 사실 우리은하보다 10억년 젊은 이웃은하에서 왔다. 이들 7개의 구상성단이 한 평면 내에 존재하고 ... ...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선정됐다. 프랑스 뚤루즈 제3대학에서 항공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에서 항공기술 분야의 연구를 주도하며 1994년부터는 중형항공기 개발사업에도 참여했다.최근에는 무인기 관련연구와 인연을 맺고 있다. 1999년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국방부가 공동으로 관여하는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헬리콥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제트기는 고속비행 능력이 있다. 두가지 능력을 모두 가진 신개념 비행체는 없을까. 헬기처럼 떠서 제트기처럼 전진하는 새로운 비행체는 어떤 모습일까 그리 넓지 않은 주차장 정도의 공간에서 자그마한 비행체 한대가 야간에 이륙한다. 놀랍게도 사람이 타 ... ...
바이오 인포매틱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향한 뜨거운 열기는 우리나라에서도 손쉽게 느껴진다. 생명공학 관련 기업과
연구원
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인력을 확보하는데 분주하다. 대학이나 대학원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학과나 교육 과정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또 과학기술부는 바이오인포매틱스가 생명공학계의 핫이슈로 ... ...
버뮤다 삼각지대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바다가 갑자기 공기보다 가벼워질 수 있을까.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물 위에 잘 떠있던 배라도 순식간에 바다 속으로 깊숙이 돌처럼 가라앉을 것이다. 마치 바다가 거대한 입을 벌리고 배를 집어삼키듯이…. 2000년 11월 겨울. 영국의 애버딘에서 북동쪽으로 1백50km 떨어진 윗치 그라운드(Witch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일환으로 ‘스마트 무인기 기술개발사업’이 채택됐으며, 2002년 6월 말 항공우주
연구원
이 이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10년 후를 내다보는 미래형 무인기 기술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스마트 무인기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들은 외국의 한 무인기 전문가는 다음과 같이 ... ...
목성의 제1위성 이오 화산 폭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천체과학 전문지 '이카루스' 11월호에 발표했다. 프랭크 마치스
연구원
과 그의 동료들은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케아봉에 설치된 제2케크망원경으로 관측한 이오의 모습을 분석해 대규모 화산 폭발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2월 20일에 관측된 작은 점이 이틀 후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꼭 학벌이 좋거나 천재일 필요 있나요? 그래야 한다면 청소년이 모델로 삼고 따라가기 너무 힘들잖아요.”이렇게 말하며 자신을 서슴 ... KSR-Ⅲ 사업단장199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우주기반기술연구부장2000년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선임연구부장2001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위원회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횡포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우주실험에서 가장 큰 골칫덩어리이기도 하다. 항공우주
연구원
의 최기혁 박사는 DNA의 전기영동실험을 예로 들어 기포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전기영동실험에서 DNA를 장치의 한쪽 끝에 놓고, 그 양쪽 끝에 전기를 건다. 그러면 분석하고자 하는 DNA의 질량에 따라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