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수학동아 l2010년 12호
- 1902년 영국 수학자 러셀이 ‘모든 집합을 원소로 가지는 집합은 존재할 수없다’는 것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칸토어의 집합론에 관한 많은 역설이 추가로 생겨났습니다. 이와 같은 집합론의 역설이 존재한다는 것은 분명히 이론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하지만 이것을 ... ...
- 산타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전 세계 어린이 수를 추정할 수 있거든. 한국의 어린이 비율 11.8%를 지난해 말 세계은행이 발표한 세계 인구 67억 7523만 5741명에 곱하면 세계 어린이 수가 나오지. 바로 7억 9952만 7908명이야. 약 8억 명의 어린이가 크리스마스에 산타의 선물을 기다리고 있는 거지.그런데 내가 선물을 주기 위해 생각할 ... ...
- 미생물 바이오 공장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미생물 바이오 공장이 석유를 많은 부분 대체할 것이다. 세계미래회의는 올해 1월 발표한 미래예측에서 2020년이 되면 미생물이 만든 바이오연료가 현재 미국 수송용 연료 사용량의 30~60%를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의 연구팀은 2009년에 “2020년이면 고분자화합물 시장의 최대 ... ...
- 우주엘리베이터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아르추타노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은 1979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의 소설 ‘낙원의 샘’을 통해서다. 우주엘리베이터의 원리3만 6000km 상공까지 우주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르내리려면 적잖은 에너지가 든다. ...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 중 외래종 침입을 제외한 네 가지는 모두 서식지를 파괴하는 활동이다. IUCN이 지난 9월 발표한 성명서 역시 멸종위기 조류와 포유류의 86%, 양서류의 88%가 순전히 서식지 문제로 위험에 빠졌다고 밝히고 있다.인간 활동에 의한 멸종은 각종 통계와 연구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잃어버린 ...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대해 연구하는 걸 견학해보면 어떨까. 연구에 참여해 나중에 탐구대회에서 관련 주제로 발표를 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그리고 봉사활동으로 생태 연구하는 일을 돕는다면, 네 꿈과도 연결되는 일이니까 더욱 의미있을 거야. 독서기록장은 꾸준히 쓰고 있지? 책을 많이 읽는 데 그칠 게 아니라, 많이 ...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theragnosis), 바이오닉스(bionics), 메타볼로믹스(metabolomics) 등 신기술 개발 계획을 언론에 발표한 바 있다. 우리에게 생소한 이런 새로운 연구 분야는 생물학, 전자공학, 생화학, 약리학, 의학, 기계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이 만나 응용된 것들이다. 이런 융합학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때문이었으니까. 그래서 나는 1967년 미국의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하고, 프랙탈 차원을 세상에 알렸지. ✚칸토어 집합과 코흐 곡선의 차원 집합론을 창시한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는 ‘칸토어 집합’을 연구했다. 이것은 수학적으로 연구된 최초의 프랙탈 중 ...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나라마다 다른 얼굴이 있다. 한 나라를 대표하는 얼굴, 바로 국기다. 나라의 수만큼 국기는 다양하다. 하지만 비슷한 얼굴이 있는 것처럼 비 ... 정확하게 알려두지 않아서 다양한 태극기가 사용됐다. 현재의 태극기는 1949년 10월 15일에 발표한 국기제작법을 따른다 ...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수학동아 l2010년 12호
- 각각의 지름과 원주의 길이를 직접 재고 있었다. 측정을 마치자 두 값의 비율을 계산해 발표했다. 약 3, 3.2, 3.1, 2.9~3.4처럼 다양한 값이 나왔다. 선생님이 π(파이)가 3.1415…인 이유를 설명하며 원주율인 파이는 그리스 사람이 처음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때 한 학생이 “그래서 그리스 사람들이 파이를 ... ...
이전5725735745755765775785795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