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계 생식생리학자들은 새 생명이 체외수정 시술법(시험관 아기 시술법)으로 탄생했다는
발표
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루이스의 부모는 나팔관이 막혀 결혼 후 9년 동안 아기를 가질 수 없었다. 영국 케임브리지 의대의 로버트 에드워즈와 패트릭 스텝토 박사팀은 이 부부에게 새로운 희망의 길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두고 국가핵융합연구소는 담담해 하는 눈치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3차 실험 결과를
발표
한 권면 국가핵융합연구소 선임단장은 “이미 상전도 자석을 이용한 융합로에서 여러 번 확인된 사실을 초전도 자석을 통해서도 구현했을 뿐, 큰 의미는 두지 않는다”며 “그보다는 KSTAR를 안정적으로 ... ...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떤 응급구조를 받았는지 분석하고 생존율을 비교해 10월 6일자 ‘미국의학협회지’에
발표
했다.보브로우 연구원에 따르면 4415명 중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CPR을 받은 환자는 666명, 인공호흡 없이 흉부압박만을 받은 환자는 849명이었다. 그런데 환자가 병원에 옮겨진 뒤 생존한 ... ...
쪽지시험 보면 더 잘 외워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뇌의 기억 과정에 관여해 암기 효율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10월 15일자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118명의 실험자를 모집해 아프리카 언어 중 하나인 ‘스와힐리어’ 단어 48개를 가르쳐 주고 외우도록 했다. 그냥 외우는 것이 아니라 ‘시(sea)’와 ‘시(詩)’처럼 외우려는 단어와 발음이나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우리는 구면이나 말안장처럼 휘어진 공간을 다룰 수 있게 됐다.새로운 기하학이
발표
된 지 약 60년 뒤, 아인슈타인은 우주가 평평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서 휘어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일반상대성이론은 공간에 대한 기초 이론을 비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찾았다. 이처럼 유클리드의 다섯 번째 공리에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된다.흥미롭게도 당시 헤크 교수는 혼자 이름으로 일련의 논문을
발표
했는데 노벨수상자
발표
직후 인터뷰에서 “사실 연구를 거의 혼자서 했다”며 “혼자 일하는 스타일이어서가 아니라 당시 그런 여건이었다”고 설명했다. 그 뒤 헤크 교수는 델라웨어대로 자리를 옮겼다.일본, 노벨화학상 ... ...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함께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30개국의 참가자들이 800편의 논문을
발표
해 학술 교류도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의 만프레드 모라리 교수 등 로봇공학계 석학의 초청강연도 열린다.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카프리올리 교수는 기자에게 “뇌종양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고, 뇌졸중에 대한 연구를
발표
한 미국국립보건원(NIH)의 다닐로 태글 박사는 “뇌단백질체 지도를 이용해 뇌졸중의 발병을 알려 주는 생물지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우리나라로서는 뇌단백질체 지도 제작에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하에 있던 뜨거운 맨틀이 밀려나와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지질학’지 10월 18일자에
발표
했다.에트나 산은 유럽에서 가장 큰 화산(높이 3323m)으로 기원전 4세기경부터 지금까지 90회 이상 분출했다. 에트나 산 일대에는 한라산 주변의 ‘오름’과 같은 기생화산이 260개가 넘는다. 한라산에 있는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스트레스 관련 장애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화병”이라고 ‘세계 문화 정신의학지’에
발표
했다. 국제 학계에서 화병을 하나의 정신질환(Hwabyung)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화가 나서 참는 행동이 모두 화병은 아니다. 화는 지극히 정상적으로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화가 나더라도 시간이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