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60갑자나 달과 날의 간지 수를
알
기 위해서는 만세력이라는 다소 복잡한 달력을 봐야
알
수 있다. 그렇다고 고민하지 마시라. 대부분의 토정비결 책에서는 이 숫자들을 정리해 표로 만들어 놨기 때문에 손쉽게 자신의 괘가 적힌 페이지를 펼칠 수 있다. 토정비결을 재미삼아 보면서 의외로 ‘점괘가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했다.상암구장을 보자. 윤기가 흐르는 잔디 밑을 파보면 물이 고이지 않는 이유를 한눈에
알
수 있다. 평범해 보이는 그라운드 밑은 단순한 땅이 아니다. 우선 맨위는 잔디가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가는 모래가 30cm 깔려 있다. 그 밑으로 굵은 모래와 가는 자갈이 순서대로 놓여 물이 순차적으로 ... ...
IT - 디지털 마술방망이의 신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각종 장애물들을 찾아 위치와 속도를 정한다. 여기에다 장애인의 위치를 가족이
알
수 있도록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을 다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늘 아이디어와 시간과 싸움하는 선견지명씨에게 자동차는 생각이 멈추는 공간이다. 혼잡한 테헤란로를 달릴 때는 이만저만 짜증이 나는 것이 ... ...
제왕의 등장
알
리는 징표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태어났다.우리 민족의 고대사를 장식했던 신라의 건국신화 얘기다. 흰말이 절하고 있던
알
에서 태어난 사람이 바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다. 고구려의 건국신화에도 이와 비슷하게 말이 등장한다. 고구려 시조 주몽은 혓바닥에 바늘이 박혀 초라해보였던 명마 덕분에 부여에서 도망칠 수 있었고,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취업한다. 남성이 22.5%인 것과 비교하면 여성이 과학기술계에 남는 경우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이 숫자는 무엇을 의미할까. 과학기술계는 여성이 들어갈 문을 남성보다 좁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김박사는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의 어려움의 첫번째로 '일자리 구하기'를 꼽았다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시리우스보다 일찍 떠올라 곧 시리우스가 나타날 것을 미리
알
려주므로 붙은 이름이다.ㅣ외뿔소자리ㅣ겨울 은하수를 가볍게 건너며 오리온의 뒤를 따르는 동물은 전설에 나오는 유니콘이다. 17세기 초에 독일인 페트루스 플랑셔스가 은하수 속의 희미한 별로 만든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첨단 기술의 종합적인 적용에 의해서만 구현 가능한 아주 특별하고 어려운 장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핵융합 발전 상용화에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근래 활발히 개발되는 고온 초전도체 기술이 대표적인 예다. 고온 초전도체를 이용한 고자기장의 대형 자석을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사실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그림 4).한반도에 인류가 처음 출현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가축화 된 개가 유입된 시기는 북방인들이 남하하기 시작한 1만년 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이주민들의 유입 때마다 외래 개들이 주민들과 함께 들어왔을 터이며 먼저 유입된 개와 혈통이 섞어졌을 ... ...
격리된 방에서 교신하려면?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걸린다. 이는 번개를 본 후 시간이 좀 지나야 천둥소리가 들리는 경험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소리의 속력은 바람, 온도, 습도 등 주위의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온도가 0℃이고 건조한 공기의 경우 소리는 1초에 약 3백30m, 1시간에 약 1천2백㎞ 를 진행한다. 차가운 공기보다 따뜻한 ... ...
우리 삽살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몇마리 되지 않았다. 하교수는 이때 넘겨받았던 8마리의 삽살개를 ‘문익점의 목화씨 3
알
’에 비교한다. 이후 하교수와 경북대 유전공학과 연구팀에 의해 삽살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졌고, 그 진가를 인정받아 1992년에는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됐다.‘우리 삽살개’는 20년 가까운 세월을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