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묻힌다. 로스차일드의 슬리퍼라는 난초는 진디처럼 보이는 점무늬를 새겨 넣어 진디에
알
을 낳는 파리를 유인한다. 유인된 파리는 난초잎의 물통에 빠져 난초가 원하는 일을 하고야 겨우 빠져나올 수 있다.대개 동물이 식물을 먹이로 삼는데 반해 식충식물의 경우는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그 ... ...
고래의 조상은 소 · 돼지와 사촌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육상동물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어떤 동물에서 진화했는지 확실히
알
수 없었다.깅리치 교수는“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가설로만 주장되던 고래의 육지조상이 화석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하며“앞으로는 어떻게 고래가 지금과 같은 식습관을 갖게 됐는지가 새로운 ... ...
하지점은 겨울철 별자리에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동지점은 여름철 별자리에 있을 수밖에.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다. (그림2)에서 금방
알
수 있듯이 문제(2), 문제(3)의 정답도 모두 ○다.천문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적도 좌표계는 춘분점과 천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이 좌표계에서는 지구의 경도에 해당하는 적경과 지구의 위도에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에 문장을 썼다. 여기에 쓰인 문장은 잘
알
려진 물리학자인 고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에 한 연설(1960년에 책으로 발표됨)의 한 부분이다. 이 연설 내용은 놀랍게도 파인만이 2000년대 나노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상황을 예견하는 것이다. 당시에는 SPM조차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해 연구중이라고 대답했다. 천체물리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래에 재미있을 만한 주제에 세가지를 손꼽았다. 먼저 우주에서 어느 시기에 어떻게 은하가 생성됐는지를 밝히는 은하형성이론이 밝혀져야 하고, 찬드라 망원경이 관측하는 X선·감마선과 관련된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못한다. 반대로 학부에서 한 분야를 전공한 후 대학원 과정에서 선택하면 전분야를
알
지는 못하지만 전문 분야에서 깊이 있게 연구할 수 있다.전문가들은 환경보전기술 연구가 기존의 학문과 달리 여러 분야가 접목되는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무래도 학부 때 자신의 분야를 전공한 후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슬람 근본주의 역시 교리를 철저히 수행한다는 데서 출발한 만큼 기본적으로 유일신
알
라의 가르침대로 평화와 형제애를 추구하고 폭력을 배격한다는 설명이다.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이슬람은 평화와 공존을 중요시하는 종교로 테러와는 관련이 없다”고 말하며 “이슬람 급진 ... ...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내게 된다. 검정색 스타킹을 신었을 때 다리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흰색은 밝게 확장돼보이는 색이기 때문에 마르고 빈약한 체형의 사람들이 세련되게 입을 수 있는 색이다. 액세서리나 소재의 질감 변화, 보색이나 밝은 원색에 의한 악센트 컬러는 평범하고 단조로운 ... ...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크기를 보면 1-2천만kw를 저장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규모의 저장장치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벼락을 잡는 기술보다 저장 기술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 정부나 대학의 대규모 연구기관이 아닌 개인 발명가가 개발 우선 순위를 혼동한다면 파산하기 십상이다.발명가들의 약점 중 하나는 자신의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해부도를 남겼다. 하지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해부도는 그의 사후 2백년이 지나서
알
려지는 바람에 해부학 발전에 전혀 공헌을 하지 못했다. 공헌 여부를 중시하는 서양인은 지금도 베렌가리우스의 해부도를 최초의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목숨 걸고 시체 훔친 해부학의 아버지교통이나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