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00"(으)로 총 10,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2018.11.18
- 상태다. 국제적인 공인 기준인 1억분의 1의 불확도를 달성하려면, 1초에 약 10개에서 100개 사이의 전자를 흘렸을 때 생성되는 아토암페어(aA, 106조분의 1A) 수준의 전류 크기를 제어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김 연구원은 “5년 내 아토암페어 수준에 도달해 국제적으로 암페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 ...
- [기본단위 재정의]한국도 질량·전류·온도 단위 재정의에 기여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8
- 불일치의 해소되자 국제 ‘과학기술데이터위원회(CODATA)’는 볼츠만 상수의 정밀도를 100만분의 0.91에서 백만분의 0.57로 낮추기도 했다. 표준연은 “선진 표준기관들의 측정결과에 대한 최종 심판자 역할을 한국이 수행함으로써 온도 단위 켈빈 재정의의 난제를 해결하고 국제표준 분야에서 위상 ...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2018.11.17
- 심지어 고도 4000m 티벳에서도 자란다.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주식으로 삼는다. 밀 100g의 열량은 327칼로리(cal)다. 흔히 탄수화물만 들어있다고 생각하지만, 밀알의 10~15%는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밀의 단백질과 비타민 함량은 쌀보다 높다. 곡물 중 가장 늦게 해독된 밀 게놈 이토록 ... ...
- [여기에 과학] 새에게 개기일식은 '큰 폭풍의 서막'이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7
- 레이더 데이터를 모았습니다. 관측소 중 8곳은 약 1분 24초에서 2분 42초까지 해가 달에 100% 가려지는 곳에, 18곳은 95% 이상 가려지는 곳에 있었습니다. 다른 54곳은 80~95%까지, 남은 58곳은 80% 이하로 가려지는 곳이었습니다. 연구진을 각 관측소에 있는 레이더로 지상 0m부터 5000m 상공까지 레이저를 ... ...
- [기본단위 재정의] 의약업계 손익 가르는 ‘㎏’ 정의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7
- 유지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100년 이상 지나자 원기의 무게가 10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가량 가벼워졌다. 원기의 표면이 1년에 1㎍씩 서서히 산화된 것이 문제였다. 이에 따라 표준 값에 대한 정의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원기에 오차가 있으면 이 원기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모든 ... ...
- [기본단위 재정의] 실생활·산업분야선 변화 아닌 변화동아사이언스 l2018.11.17
- 생긴다. 1㎍(마이크로그램, 1㎍은 100만분의 1g)짜리 초소형 부품의 무게를 재려면 다시 100만분의 1로 환산해야 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 광학표준센터 박승남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질량을 ‘키블저울’이라는 측정장치로 맞추면 되기 때문에 키블저울의 종류에 따라 1g짜리 분동도 그대로 ...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과학동아 l2018.11.16
- 산화되거나 이물질이 묻어 질량이 미세하게 바뀔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지난 100년간 머리카락 한 가닥 무게 정도인 약 50㎍(마이크로그램)만큼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총회에서는 한국을 포함해, 미터협약의 정회원국인 60개국 중 53개국 대표들의 투표를 거쳐 ‘kg을 ...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2018.11.16
- 근본적인 단위 기준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예를 들어 킬로그램원기의 경우 100년 동안 0.05mg이 변했는데, 이는 현재의 정밀 과학 연구 분위기에서는 허용하기 힘든 오차다. 이런 고민에 따라, 그 동안 측정 과학자들은 변하지 않는 우주의 물리값(상수)을 이용해 기본 단위를 ... ...
- 생활 속 4개 측정 기본단위 기준, 143년 만에 확 바뀐다2018.11.16
- 겪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킬로그램원기의 경우 100년 동안 0.05mg이 변했다. 1억분의 5가 변한 미세한 변화지만, 최근 정밀과학의 발전으로 이런 미세한 차이도 무시할 수 없게 됐다. 측정 과학자들은 변하지 않는 우주의 물리값(상수)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 ...
- KISTI, 인텔 병렬연산 프로세서 성능 개선에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1.15
- 2~2.5배 속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벤치마킹을 위해 엔비디아의 그래픽 프로세서 GPU(P100)를 이용해 성능을 비교한 결과, 연산속도는 비슷하지만 계산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이 절반에 불과했다. 또 전산구조 계산을 통해 최근 미래의 태양광패널이나 반도체 재료 후보로 각광 받고 있는 ... ...
이전5735745755765775785795805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