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개입없는 야생의 땅, 전체 육지의 23%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아마존 숲 을 지나 흐르는 카테테강 주변을 걷고있는 여성의 모습이다-Taylor Weidman 제공
100
년전만 해도 인간이 가축을 기르거나 곡물을 생산하는 육지 면적은 전체의 15%였다. 최근 인간의 활동 영역이 이때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는 연구가 나왔다.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생활하기는 그만큼 어려워진 ... ...
DGIST학부생, 청소로봇 알고리즘 개발로 ‘해커톤’서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청소로봇 시뮬레이터 환경을 이용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대회다. 이번 대회에는
100
여개 팀이 참여했다. 디품팀은 청소로봇은 물론 자율주행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듬을 직접 개발해 우승을 차지했다. 지나온 경로를 다시 청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청소로봇 ... ...
암세포까지 항암제 정확히 전달하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이런 이유로 암 세포만 공격하는 ‘표적 항암제’가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암세포만
100
% 공격하는 항암제는 등장하지 않고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약물 전달체는 치료제를 담아 표적 세포까지 전하는 물질이다. 암세포를 죽이는 효과가 뛰어나지만 부작용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기존 ... ...
[과학도시를 만나다]④ 혁신동력 잃은 과학도시, 그래도 네이처는 주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중이온가속기 시설은 대지면적 95만2000㎡(건물면적 13만
100
㎡)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2021년까지 총 1조4298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라온은 입자 가속에 가벼운 이온을 두꺼운 표적에 충돌시키는 ‘온라인 동위원소 분리장치(ISOL)’와 무거운 중이온을 가벼운 표적에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과 10주년 기념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원자력 유관기관 및 출연(연) 연구인력
1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준위방폐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URL의 구축 및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 ...
기상청 항공기 첫 투입,공중방사선 탐지 훈련 실시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국방부 등 18개 중앙부처와 함께 경찰청과 소방청, 교육청. 대한적십자사 등
100
여 개 기관이 참여한다. 부처와 기관 관계자 약 2000 명과 주민 3000여 명 등 총 50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이상의 먼 거리에서도 냄새를 맡고 암컷을 찾아오기도 한다. 최근 분석 기술의 발달로 10~
100
마리면 충분히 한 종의 페로몬을 찾을 수 있지만 봄비콜은 페로몬 연구 초기인 1959년도 누에 50만 마리 암컷 배 끝을 잘라 큰 희생을 치르면서 추출한 대표적인 페로몬이다. 유리산누에나방 암컷에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2038년 포화. 지하처분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사용후핵연료를 저장·보관할 때는 부식되지 않도록 물의 온도와 불순물 농도 등을 제어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사진은 프랑스 국영 원자력그룹 아레바가 라하그 지역에 건설한 재처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100
여 명이 참석했다. ... ...
자문회의 심의 안받고 통과한 R&D사업 36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05억 5600만 원) △ 수소에너지 혁신기술 개발(102억 4000만 원) △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100
억 원) 등이다. 이 가운데 80억원이 편성된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 사업은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가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결론이 나왔지만 이번에 재논의 없이 다시 포함된 것으로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올려 두고 전류를 추출할 수 있다. 중간에 다른 증폭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100
nA(나노암페아) 이상의 전류를 얻었다. 이런 기능은 약 1주일 간 유지됐다. 연구팀은 생체 태양광발전 기술이 상용화되는데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류원형 교수는 “조류세포와 같은 식물세포를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