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MID의 운명을 바꿔 놓았다. 회사를 열고 첫 책을 준비하던 최 대표는 뜻하지 않은 기회로 미국 컬럼비아대 의료정보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우정훈 씨를 만나게 된다. 우 씨는 최 대표에게 유전자 분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한다는 내용의 책을 번역해 출간하고 싶다고 말한다. 바로 MID의 첫 책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미국 핵융합의 침체기였어요. 레이저 방식이 성과를 못 냈거든요. 하지만 지난 8월 말 미국 에너지국(DOE)이 프로젝트를 가동해 핵융합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죠. 이터와는 다른 방식도 지원하겠다고 해요.Y: 한국은 케이스타가 최근 1만 번째 실험을 돌파했어요. (▶6파트 참조)알베르토: 내년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되면 핵융합이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공교롭게도 비슷한 연구 결과가 같은 시기에 다른 미국 연구자들에 의해 나오고, 연구자들이 “투입 에너지보다 많은 에너지가 검출됐다”고 근거를 대기 시작하자 언론은 흥분하기 시작했다. 취재 경쟁이 일어났고, 전기분해에 의한 상온핵융합은 세계적으로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었던 건 아닐까. 콘돔을 콘돔이라 부르지 못하는 그 마음 말이다. 1995년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12월 1일을 세계 에이즈의 날로 지정하고 콘돔 사용을 촉진하는 캠페인을 벌인 지도 벌써 19년이 흘렀지만, 이런 인식은 여전히 바뀌지 않고 있다. 콘돔, 언제쯤 그 이름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까 ...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최근 기발한 방법으로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미국 네바다대와 캐나다 빅토리아대 공동 연구팀은 GPS 위성을 이용하면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물리학’ 온라인판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질량이 매우 크다는 점에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지역의 날씨부터 알아보는 게 좋겠다.그렇다면 ‘해당 지역’은 어디일까. 캐나다 북부, 미국 알래스카, 노르웨이…. 오로라 여행으로 유명한 지역은 많다. 포털 검색에서 후기도 많다. 공통점은 지구의 ‘북쪽’이다. 태양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는 지구 가까이에 와서는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자동 친구 추천을 해주는 알고리듬 덕분에(?) 취재원에게 사생활을 다 들켜버리기 일쑤다.미국 시카고 매터사이트 코퍼레이션이라는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보자. 이 회사 콜센터는 고객을 상담원에게 연결할 때 국적(언어)이나 전문 지식을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고객이 말하는 패턴이나 구사하는 ...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카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의 해를 처음으로 구했다. 1939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시대에 적합하게 발전해 간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보여 준다.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미국의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증명한 정리로, 공리계에는 참이지만 참임을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하며, 그 공리계는 자신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
- 몇 초 동안만 다이아몬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미국 휴스턴에 있는 라이스대학교 화학과 연구팀은 단 몇 초 동안만 다이아몬드인 ‘나노다이아몬드’를 만들었어요. 이 나노다이아몬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름이 약 0.00001㎜로, 머리카락 두께보다도 훨씬 작아 전자현미경으로밖에 볼 수 없답니다.연구팀은 석탄에 전자빔을 쏘아 약 2500℃ ... ...
이전5745755765775785795805815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