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해 핵 에너지로 발전을 하기에 이른 것이다.곧이어 1932년에 미국 물리
학자
C.D.앤더슨(Anderson)은 안개상자에서 우주선(cosmic ray) 실험을 하면서 전자와 질량은 같으나 양전하를 띤 입자인 반(反)전자를 발견한다. 이는 우주선의 전자기파가 원자핵에 쬐어들면서 그 빛에너지가 전자 ... ...
미국 과
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주제로 열린 IEEE(전기전자공학회) 국제회의에서 채택된 17편의 논문중에서 15편이 일본
학자
가 발표한 것이었다. 회의장은 도쿄가 아니라 샌프란시스코였다. 과학의 주도권은 1980년대에 일본으로 넘어갔다. 오늘날 일본은 과학적 성과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미국 등을 무임승차시키고 있다.SSC에서 ... ...
극한 상황속의 인간한계 실험하는 에베레스트 생리연구현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앞으로 여러가지 기초연구를 수행, 그 성과물을 계속해서 내놓을 것이다. 이곳의 과
학자
들은 스스로를 '기니픽'(실험동물의 일종)이라고 부르는데, 실제로 자신과 동료의 몸이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거의 먹지 않는 사람들은 고혈압이 될 위험도가 더 높다고 하지만 이 사실에 회의하는 과
학자
들은 그것이 칼슘 부족때문인지 그런 음식에 있는 다른 요소 탓인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칼슘을 더 공급해서 혈압을 조절해보려고 시도한 결과는 소금의 경우 만큼이나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용해 전자기기를 만들 수 없었다. 1948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길을 세사람의 미국 과
학자
들(윌리엄 쇼클리, 존 바딘, 월터 브래튼)이 발견했다. 이 세사람의 연구결과는 전자공학 분야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두가지 발명, 반도체로 만든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탄생시켰다. 이로써 작고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통계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다만 지난 해 10월에 개최된 전국법의학세미나에서 몇몇
학자
들이 밝힌 부분적 보고를 통해 일부 임상과별 진단의 정확도를 개괄적으로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그 세미나에서 울산의대 이문호교수는 자신이 서울의대에 재직하던 66년부터 86년까지 서울대병원 내과에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천문
학자
바네스 헌퀴스트 시바이저 등은 그들이 만든 새로운 모델을 활용, 상호작용을 하는 두 은하들은 결국 서로 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은 편평한 은하들이 상호충돌을 함으로써 ... ...
걸프전 환경영향 진상 밝히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역사상 최대규모의 구름형성실험"이라고 표현한다.-미국정부연구소에서 일하는 과
학자
들에게, 유전화재가 환경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있어도 일체 함구하라고 지시한 사람은 누구인가.전쟁 중에는 군의 사기를 위해서도 불가피하게 검열을 준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종전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글씨가 보인다.'인공지능이라는게 도대체 뭔가'라는 주제로 많은 논쟁이 있었다. 철
학자
들은 인공지능에게 많은 숙제를 안겨주었다. '사람처럼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기계' 그런 것이 아니면 안된다고 이들은 소리쳤다. 이들은 "컴퓨터에게는 영혼이 없다"는 식의 비난을 하면서 문제를 전통적인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거울로 빛을 반사한다든가 연기를 피워올린다든가 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리스의 역사
학자
폴리비우스는 B.C.100년대에 연기신호로 알파벳을 나타내는 방법을 발명했다. 폴리비우스 부호는 남아 있지는 않지만 1838년에 사무엘 모스가 고안한 모스 부호와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스는 최초의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