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과정(process)에서 발생된 조인상태는 적은 위상 잡음을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험물리
학자
들은 진공수준 이하까지 구조적 잡음을 가진 조여진 광을 얻는데 성공했다. 조인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광학장과 비선형적으로 결합된 상호작용에서 위상의 감지가 필요하다. 조인 빛은 결맞은 복사장의 ... ...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아무튼 하이브리드차는 멀지않아 세계 자동차의 주류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의 과
학자
들은 90년대 후반에는 오히려 기존의 차보다 높은 선호도를 갖게 되리라고 단언하기도 한다. 적어도 순수한 전기자동차보다는 훨씬 보급이 빠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준에서 머무르고 본격적인 컴퓨터 설계에는 못미치고 있다. 한편 해외에 있는 한국 과
학자
들이 주로 미국 등지에서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등을 설계해 한국의 파트너를 찾는 경향도 생기고, 반대로 한국의 기업이 설계부분은 미국 등과 공동으로 하고 생산을 국내에서 하는 시도가 생기는 등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많다. 그 어느것이나 당사자를 유명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1990년 DES는 몇몇의 이스라엘 과
학자
에 의해 국제암호학회에서 깨어졌다.그것도 대형의 슈퍼컴퓨터에서가 아니라 개인용컴퓨터(AT)를 몇대 묶은 소형 시스템에 의해서. 여러 사람들은 놀라움과 우려를 표명했다.슈퍼컴으로 수백만년 걸리는 ... ...
태양주위 감싼 코로나의 신비 벗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찍은 것보다 10~1백배 선명한 사진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사진은 태양을 연구하는
학자
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자료다.현재 이 망원경은 지난 해 8월 31일 일본의 가고시마우주센터에서 발사한 '요코'라는 인공위성에 탑재돼 있다.이 망원경의 거울은 약간의 굴곡을 가진 원통형인데 태양의 코로나를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따라 연구의 자율성은 최대한 확보됐다. 요즘 감사원에서 연구소 감사하게 되면서 과
학자
들이 연구보다 이러한 잡무에 시달리는 것을 보면 안스럽기 그지없다. 일반기업의 잣대로 연구소를 재려하면 반드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 내 소신이다.나는 KIST가 자리를 잡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사람은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하는 것은 모두 이런 식물사회적연구로부터 얻어진 한 단편으로 유전자 손실에 대한
학자
들의 경고인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 동북지방땅의 원식생(과거) 현재식생(현재) 잠재자연식생(미래)은 과연 무엇일까? 대신식생과 2차식생이 발달중국 동북지방의 원식생은 잣나무 종비나무 분비나무 등의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핵력(강한 핵력과 약한 핵력), 중력을 하나의 공식으로 설명함으로써 그동안 물리
학자
들이 찾고 있었던 힘의 대통합이론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또한 다른 의문점들에 대해서도 답을 해 줄 수 있다.도대체 은하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던가는 그동안 가장 골치아픈 의문이었다.우주수프는 매우 ... ...
1992를 해부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9/9)*22. ②문제는 수학사에 있어서 유명한 '4색문제'다. 1852년에 처음 제기된 이래 수많은
학자
들이 증명하려고 노력했지만 오랫동안 수학적 증명은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여러분이 직접 해보면 네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금세 알게 되지만, 엄밀한 증명이 어려운 문제인것만은 사실이다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침강 가능성에 대한 논쟁은 일찍이 1890년부터 시작됐다.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지질
학자
인 제임스 다나는 오아후섬의 누아누팔리나 카우아이섬의 나팔리 해변 등이 모두 분리와 해안쪽 사면의 추락때문에 만들어졌다고 추론했다. 그러나 다나와 그의 동료들은 그런 종류의 지각변동이 그때 당시로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