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우라늄이 풍부해서 외국에서 사올 필요도 없으며 소련에 보내 훈련시킨 수천명의 핵과
학자
도 보유하고 있다.한편 우리나라는 북한보다 과학기술이 더 앞서 있어 원한다면 북한보다 더 빨리 핵폭탄을 만들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핵을 평화적으로만 이용하겠다는 약속을 했고 아울러 ... ...
수의학이 인간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장하기 위해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하는 행위에 윤리적인 문제 제기도 없지 않다. 수의
학자
들은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변한다."실험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가능한한 희생되는 동물의 수를 줄이고, 실험이 끝난 동물은 고통을 느끼지않게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한 근일점에서 다음 근일점으로 갈 때까지 정확하게 태양의 위치를 한번 돌지않아 과
학자
들을 1백년 이상 고민에 빠뜨렸다. 1세기 동안 타원궤도에서 43″의 차가 났다. 이를 해결한 것이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이론은 이 현상을 예측했고 실제 관찰 결과 정확히 검증됐다.사건지평선시간이 무한히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취리히 공과대학에서 과학기술용 범용언어에 대한 회의가 열렸다. 배커스도 초대 됐다.
학자
들 특유의 소아병적 고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소수점을 문장의 분리기호로 쓸 것인가의 문제로 격론이 벌어졌다. 위원장인 웨그슈타인의 중재로 그 문제는 뒤로 돌려진채 각자 방에서 분을 삭인 대표들은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재정자립도는 꾸준히 높여나가야만한다. 또 많은 KAIST 교수들이 지적하듯 '병역특례나
학자
금지원이 없더라도 KAIST의 어느 과, 어느 교수에게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지원 할 수 있도록 실력으로 대외경쟁력을 쌓아나 가는 일이 오늘의 젊은 KAIST인들에게 부여된 몫이다 ... ...
여성 천문
학자
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없었던 그녀는(여자는 학교교육을 받을 수 없었으므로)상당한 지식을 갖춘 아마추어 천문
학자
였던 아버지로부터 비공식적인 천문학 교육을 받았다.1847년 10월1일, 그녀는 혜성 하나를 발견함으로써 곧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849년에는 미국항해국에 고용되어 천문학적 계산에 몰두했다. 그리고 186 ... ...
치과에서 옮은 AIDS로 미국서 소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조사팀은 이제 남은 그의 가족이나 함께 일한 동료들을 형사적으로 수사하거나 심리
학자
들을 동원할 계획이다. 한편 아서가 감염된 환자들과 성관계를 가졌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그동안의 조사결과 5명중 누구도 그런 일은 없었다.원인을 밝히는 것 말고도 문제는 있다. 아서에게 치료를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만일 지름 수 ㎞짜리의 운석이라면 지구의 멸망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하는
학자
도 있다. 하늘에서 별비가 내린다유성을 여러날에 걸쳐서 꾸준히 관측하다 보면 어느 기간에는 집중적으로 많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다. 그 진행방향을 선으로 연장해 보면 한점에 모여 마치 그 점에서 유성들이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작업에 동참하고 싶다'는 뜻의 편지를 받고 그는 무척 고무돼 있다.연변대학에서 남북의
학자
들이 모여 바람직한 한글자판에 관해 의견을 나눌 날도 멀지않았다고 그는 기대하고 있다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호킹이 방한했을 때 부모 손을 잡고 강연을 듣기 위해 구름같이 몰려들었던 '미래의 천문
학자
'들이 이를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이를의 우주론에 대한 관심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우리나라 천문학 역사는 일찍이 신라시대의 첨성대, 고려시대의 서운관, 조선시대의 관상감으로 이어지면서,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