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열기 시들해진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일본에 추월당하게 된 미국인들은 경계의 눈빛을 나타냈다. 스탠퍼드대학의 인공지능
학자
파이겐바움은 '일본의 도전-제5세대 컴퓨터'란 책에서 "이 계획은 극적일 만큼 미래지향적"이라고 찬탄했다.그런데 88년을 고비로 제5세대 컴퓨터계획은 점차 시들해갔다. 지난 6월 도쿄에서 열린 발표회를 ... ...
레티노익산이 혈액암을 해결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극복했던 것.그 소문을 접한 미국 메모리얼슬로안-케터링 암센터(뉴욕 소재)의 혈액
학자
레이몬드 와렐은 드고를 초청, 레티노익산에 대한 강연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드고의 강의를 들은 암센터의 연구원들은 지난해 7월부터 레티노익산의 항암효과를 보다 과학적으로 입증해 나가고 있다.와렐은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여러 종류의 송어들을 낚을 수 있다. 이렇게 된 것은 순전히 인공부화와 양식 때문이다.과
학자
들은 인공사육방식때문에 자연상태의 송어와 양식장의 것이 생태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말한다. 양식장의 송어들은 크기별로 나뉘어진 채로 빛의 양이나 수온이 실제와는 다른 콘크리트탱크 속에 ... ...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그 폭발에 의한 화산암편들은 15마일 이상을 날아갔는데 화산
학자
들은 피나투보 화산의 분화작용이 증가하리라고 믿고 있다. 어쩌면 앞으로도 수개월 혹은 수년동안을 계속할는지 모른다.일본의 화산과 필리핀의 화산사이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직접적인 것은 없다. 두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필요하다. 태양의 흑점수가 증가하면 태양의 방출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일부 과
학자
들은 흑점수와 기후변동을 연관 지으려 했으나 이것 역시 뚜렷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지구자전과 기후 지구궤도의 변화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지구는 우주공간을 여행하면서 몇가지 주기적 운동을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등과 같은 고졸한 형식의 도구들은 거의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고고
학자
들에게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왜 이렇게 '늦은' 시기까지도 그들은 그토록 오래된 생활방식을 유지 했으며 또 할 수 있었던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해명이 현재 고고학계의 주요한 관심사로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임란 당시 조선 해군의 주력선은 판옥선(板屋船)이다. 거북선은
학자
들에 따라 해전에 참전했던 척수를 3척에서 10척까지 다양하게 추정하고 있으나 전체 판옥선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다. 그리고 거북선도 판옥선을 변형한 모습이므로 조선 해군의 전투선은 모두가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자주, 그리고 오래 계속되는 현상이다. 서울-LA 항로를 두시간 단축오늘날 많은 기상
학자
들은 고기압과 저기압들이 제트기류의 경압 불안정에 따른 요동(搖動)으로 생긴다고 믿는다. 이처럼 날씨와 제트기류의 연관성이 큰 만큼 기상이변이나 이상기상에 관한 제트기류의 관련설이 심심찮게 ... ...
전자파로 플라즈마 발광체 만들어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 방식은 재현성(再現性) 이 극히 적다.전자파에 의한 방식은 .30여년전 소련 물리
학자
카피차(78년 노벨상 수상자)가 제창했으나 실험적으로 성공시킨 것은 오쓰키교수가 처음이다. 그는 이 연구결과를 영국 과학지 '네이처' 3월14일자에 이미 발표한 바 있다.이 실험에서 그는 우선 파장 2.45㎓(기가 ... ...
논쟁 제2라운드/진화냐? 창조냐?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게재됐던 「진화냐? 창조냐?」 제하의 논쟁기사는 관련
학자
뿐만 아니라 독자들의 많은 찬반양론을 불러 일으켰다. 아울러 지면이 부족해서 양쪽의 주장을 충분히 들을 수 없었고, 내용도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그래서 「과학동아」는 독자들의 요구에 부응, 양측의 반박내용을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