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못한다는 점에 있다. 단지 그 이후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를 보여줄 뿐이다. 많은 과
학자
들은 우주의 모서리가 형이상학 혹은 종교와는 경계에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우주의 경계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곤혹스러워 한다.그래서 그들은 '우주의 자의적인 상태'에서부터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 경우에 ... ...
1만5천년 된 두개골로 조상 밝힌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주해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톤박사를 포함한 또다른 입장의
학자
들은 동남아시아 뿐 아니라 중국 등 동북아시아로부터도 이주해 왔으며 그것도 한번에 끝난 것이 아니라 꽤 오랫 동안 정기적으로 흘러 들어왔다는 주장을 펴 왔다. 톤박사는 아울러 이 DNA가 현대인류의 기원까지 밝혀줄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와 전한반도에 분포하는 노루(학명 C.caprelus bedfordi)로 구분해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
들은 단일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 일부께서는 체위나 체색을 기준삼아 종(種)을 아종(亞種)으로 더 세분하기도 한다.노루의 몸길이는 1백30~1백35cm, 어깨 높이는 65~75cm, 뒷다리 길이는 36.5cm, 귀의 길이는 12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학자
들에게 중요한 과제를 남겼던 것이다. 쿨롱의 법칙(Coulomb's law)1785년 프랑스의 물리
학자
쿨롱이 비틀림저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발견한 법칙. 균일한 매질속에 떨어져 정지하고 있는 두개의 점전하(點電荷)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이 점들을 잇는 직선에 따라 작용하고 그 힘의 크기는 전하의 ... ...
카파토키야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러한 작업은 대개 신속히 진행됐다. 환상의 관광명소로 떠올라세계각국의 지질
학자
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카파토키야는 기독교 세계에는 불가사의한 자연의 모습으로 비쳐지고 있고 여행가들에게는 꿈과 환상의 관광명소로 이름이 나 있다.카파토키야 - 이곳은 자연이 인간에게 부여한 가장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않고 있다.하지만 최근에 여러가지 새로운 사실들이 많이 발견돼 일반 비기독교 과
학자
들 조차도 노아의 홍수사건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차츰 높아지고 있는데 그 이유를 몇가지 들어본다. 노아의 홍수는 실제로 증명되고 있어첫째로 귄즈(Gunz)와 민델(Mindel) 간빙기(미대륙의 아프토니아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 게다가 화학약품명은 파라디클 로로벤젠외에 21개였다. 과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모두 과
학자
가 되지 않을 바에는 어려운 과학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고 꼭 필요한 과학용어를 선별해서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위의 교과서 내용을 풀어서 적어보면 "한편 고체가 녹아 액체가 되면 열을 받아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컴퓨터 자동차 가전기기 등 현대과학의 산물은 모두 통신망에 접속된다. 이를 통해 현대인은 구태여 멀리 가지 않고도 지구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 에서 묘사했듯이 서서히 다가오는 대형(大兄, Big Brother)의 검은 그림자를 본다. 현재의 과
학자
들은 다가오는 대형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나타내는 것을 공생(symbiosis)이라 하는데 이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식물병리
학자
인 안톤 토 베이리였다(1879). 토 베이리는 보리 부패병균이나 지의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데 그 연구를 하면서 공생현상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봐도 그가 내린 공생에 관한 정의가 가장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각각의 별을 확인하기 힘들 정도의 성운 조각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이것이 이전의 천문
학자
들이 M31의 진정한 모습을 알지 못했던 이유이다. M31의 성운 같은 희미한 부분을 얼마나 알아볼 수 있는 가는 하늘의 상태와 망원경의 성능에 달려있다. 작은 망원경으로는 은하의 가장 밝은 안쪽 영역만을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