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외로운 왕, 늑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컸다. 무리에 들지 못하는 외톨이 왕도 있었다. 홀로 돌아다니는 이런 떠돌이 왕은 전체
개체
의 10~15%를 차지했다. 눈보라가 치는 겨울날, 늑대가 길게 하울링(소리 높여 우는 일)을 하고 있다. 틀림없이 귀 기울여 듣는 누군가를 염두에 뒀으리라(➊). [짝을 이룬 늑대. 늑대는 암수가 쌍을 이루고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한 에볼라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반면 지속감염은 휴전 상태다. 바이러스가 늘어나는
개체
수를 최대한 줄여 숙주에게 거의 피해를 주지 않고 감염 상태를 유지한다. 사실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바로 죽기 때문에 숙주를 살려 놓는 게 유리하다. DNA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휴전을 좋아한다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 지난 2월 5일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확보한 인골은 723
개체
에 이르며,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모든 게 순조로워 보이지만 고인골 연구자들에게도 고민이 있습니다. 인골과 미라에 대한 법 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그냥 파묻히는 인골이 너무 많다는 사실입니다. 이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뒤에는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해 같은 경쟁자와 다시 싸우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에요.
개체
의 수가 아주 많은 큰 무리에서는 모든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큰 무리에서는 직선적 우열순위가 나타나지 않고, 경쟁이 자주 일어나지요. 반면 작은 무리에서는 경쟁자와의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다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인간의 힘으로
개체
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Part 1. 우롱이 생태일보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Part 4.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 인간의 힘으로
개체
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1. 대상 :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동물 중에 왜 고양이가 유독 많은 걸까? 도시에 사는 동물 생태계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2. 제목 : 도시에는 왜 ... ...
국내 최초 수각류 머리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당시 몇 살이었을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연구팀이 발견한 화석 중에는 다른
개체
의 것으로 보이는 화석도 포함돼 있어서 두 마리일 가능성도 있답니다 ... ...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시작된 ‘새로운 시대’에 비로소 공룡이 등장했거든요.이렇게 특정한 시대에 많은
개체
수가 넓게 퍼져 산 생물의 화석을 ‘표준화석’이라고 불러요. 그 시대를 잘 알려 주기 때문이에요. 만화에 나온 화폐석 역시 신생대 제3기의 표준화석이에요. 고생대의 푸줄리나와 필석, 중생대의 암모나이트,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나이를 알 수 있어요. 또 아직까지 성별을 밝히지 못했어요. 공룡의 암수를 따지려면
개체
를 많이 발견해야 하거든요. 대개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집이 큰 편이에요. 알을 낳아야 하므로 골반이 특히 넓지요. 이외에도 두개골을 CT(컴퓨터 단층)촬영해 시각과 후각이 얼마나 발달했는지도 연구할 계획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있어요. 이렇게 주변 환경과 몸 색깔이 비슷하면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개체
보다 천적으로부터 살아남을 확률이 높아요.이처럼 자연선택은 청개구리의 몸 색깔을 잘 설명할 수 있어요. 하지만 왕관처럼 멋있는 사슴의 뿔이나 수컷 공작의 화려하고 뚜렷한 깃털을 설명하기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