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암컷의 분포가 더 큰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암컷의 먹이 경쟁이 심하고 개체수 밀도가 적은 경우 1부1처가 나타났다는 게 이유였다. 연구팀은 인류의 조상 역시 비슷한 이유로 1부다처에서 1부1처가 됐으리라 봤다.두 연구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거리다. ‘영장류의 평화 만들기’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잠복기가 각각 달라요”김 위원장은 “동림저수지에서 죽은 가창오리들은 다른 개체로부터 AI가 옮아 죽었을 것”이라면서 “단, 가축 조류가 아니라 주변에 있던 다른 철새들이 전염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간단히 말해 범인은 철새가 맞지만, 죽은 가창오리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아직 ... ...
-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기대가 됐다. 하지만 박 작가는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었다.“지금까지 보던 것과는 다른 개체예요. 습성이 조금 달라요. 그래서 지금 연구 중이에요.”참매는 대단히 예민하고 섬세하다. 주변이 조금만 이상해도 사냥을 하지 않는다. 더구나 호기로운 새도 아니다. 흔히 매(송골매)라고 하면 높은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998년 이래 딱 두 번 있었을 뿐이다.이렇게 보면, 까치는 번식이 굉장히 어려운 새다. 개체군 전반적으로 봐도 번식성공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새끼의 건강 상태도 해마다 큰 변동폭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경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개체보다는 계통(종이나 집단)이 중요하다는 개념이다. 흔히 드는 예로, 레밍이 개체수가 늘면 다른 레밍이 살 수 있게 하려고 일부러 죽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엄밀하지 못했고 자연을 잘 설명하지도 못했기에 1960년대의 해밀턴 이론이 나온 뒤 거의 사장됐다. 그런데 윌슨이 다시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금의 주리는 항성계 안에서 순간이동을 하는 게 고작이다. 나는……, 그러니까 굳이 한 개체의 능력만 놓고 비교한다면 아마도 유나 총제와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유나 총제는 엄청난 수의 지지자가 있다. 유나의 지지자들은 선총제를 그리워했고, 종속과 강제를 원했고, 자주성을 혐오했다. ... ...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접근 방식이었다면 우리 수달이 이렇게까지 주목받지는 못했을 거예요.그런데 최근에 개체수보다 더 중요한 요인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서, 영향력이 큰 동물을 중심으로 보호하자는 프로젝트가 시작됐어요. 혹시 ‘젠가’라는 보드게임을 해 보았나요? 나무 조각을 계속해서 빼도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맛있는 물고기 보고 제돌이는 무슨 소리 낼까?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르듯이 돌고래도 각 개체마다 소리가 달라요. 또 먹이를 발견했을 때, 친구와 놀고 싶을 때, 위험상황에 처했을 때 내는 소리가 각각 다르지요. 돌고래가 내는 소리는 대부분 사람 귀로 들을 수 없는 초음파라서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종이든, 현실적으로는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같은 종인지 아닌지 알기 위해 개체 하나하나를 직접 교배시켜볼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시간과 돈이 많이 들고 윤리적인 문제가 큽니다. 특히 그 대상이 인간과 가까운 동물이거나, 아예 인간 자신이라면 문제는 더 커집니다. 예를 들어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하나의 개체의 것으로, 둘을 합치면 거의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된다. 지금까지 나온 친척 인류의 머리뼈 화석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아, 초기 인류의 머리와 얼굴 형태를 완벽에 가깝게 추정할 수 있다.연구팀은 이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