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보호종. 그간 생태학자들은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배나 비행기를 이용해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해 왔지만 한 번에 조사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비용이 많이 들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해상도 50cm급인 디지털글로브의 상업위성 ‘월드뷰-2(WorldView-2)’로 ... ...
-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알 수 있다.미국 하버드대 비스생명공학엔지니어링 연구소의 연구팀은 흰개미처럼 각 개체가 자율적인 동시에 상호보완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소형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월 14일자에 발표했다.흰개미가 이렇게 거대한 개미집을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독특한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998년 이래 딱 두 번 있었을 뿐이다.이렇게 보면, 까치는 번식이 굉장히 어려운 새다. 개체군 전반적으로 봐도 번식성공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새끼의 건강 상태도 해마다 큰 변동폭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경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 ...
- 매복과 기습의 명수, 참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기대가 됐다. 하지만 박 작가는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었다.“지금까지 보던 것과는 다른 개체예요. 습성이 조금 달라요. 그래서 지금 연구 중이에요.”참매는 대단히 예민하고 섬세하다. 주변이 조금만 이상해도 사냥을 하지 않는다. 더구나 호기로운 새도 아니다. 흔히 매(송골매)라고 하면 높은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개체보다는 계통(종이나 집단)이 중요하다는 개념이다. 흔히 드는 예로, 레밍이 개체수가 늘면 다른 레밍이 살 수 있게 하려고 일부러 죽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엄밀하지 못했고 자연을 잘 설명하지도 못했기에 1960년대의 해밀턴 이론이 나온 뒤 거의 사장됐다. 그런데 윌슨이 다시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금의 주리는 항성계 안에서 순간이동을 하는 게 고작이다. 나는……, 그러니까 굳이 한 개체의 능력만 놓고 비교한다면 아마도 유나 총제와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유나 총제는 엄청난 수의 지지자가 있다. 유나의 지지자들은 선총제를 그리워했고, 종속과 강제를 원했고, 자주성을 혐오했다. ... ...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접근 방식이었다면 우리 수달이 이렇게까지 주목받지는 못했을 거예요.그런데 최근에 개체수보다 더 중요한 요인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해서, 영향력이 큰 동물을 중심으로 보호하자는 프로젝트가 시작됐어요. 혹시 ‘젠가’라는 보드게임을 해 보았나요? 나무 조각을 계속해서 빼도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맛있는 물고기 보고 제돌이는 무슨 소리 낼까?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르듯이 돌고래도 각 개체마다 소리가 달라요. 또 먹이를 발견했을 때, 친구와 놀고 싶을 때, 위험상황에 처했을 때 내는 소리가 각각 다르지요. 돌고래가 내는 소리는 대부분 사람 귀로 들을 수 없는 초음파라서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하나의 개체의 것으로, 둘을 합치면 거의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된다. 지금까지 나온 친척 인류의 머리뼈 화석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아, 초기 인류의 머리와 얼굴 형태를 완벽에 가깝게 추정할 수 있다.연구팀은 이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0㎜까지 커지지. 또 유충일 때부터 사람이나 동물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으니 어린 개체라고 무시하면 큰 일 난다오.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다른 세균도 옮긴다오. 하지만 가장 큰 병은 역시 SFTS지. 2009년부터 중국에서 환자 수백 명이 발생한 데다, 올해는 일본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오.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