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않고 대부분은 의미가 없는 DNA 뭉치 즉 ‘쓰레기(정크)’라고 생각했습니다. 쓰레기는
개체
의 삶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니, 중립설과 잘 맞았습니다.그러나 이제는 쓰레기 DNA가 다른 유전자들을 조정하거나 신호를 주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과학동아 2013년 1월호 특집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흐린 날에도 잘 울며, 평지와 산 모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경기 북부에서 특히 더 많은
개체
를 관찰할 수 있으며, 중국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몸길이는 약 35 mm다.참고로 일본의 애니메이션을 보면 ‘맴 맴’ 거리는 매미소리가 배경음으로 자주 들린다. 하지만 이것은 ‘민민매미’라는 다른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역시 서부 롤랜드 고릴라다. 동물원에서 볼 수 있는 고릴라가 바로 이 종류다. 현존하는
개체
수는 약 12만 마리. 마운틴 고릴라가 650여 마리 밖에 안되는 것과 비교하면 비교적 많다. 참고로 전세계 동물원에 서부 롤랜드 고릴라가 약 600여 마리가 사육되면서 고릴라 생태에 대해 많은 모습을 알려주고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이 주장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 그런데 마커스 드 사토이 교수는 나그네쥐의 주기적인
개체
수 감소를 수학적으로 설명해서 주목을 받았다. 4 비행하는 동물은 기하학 예술가?떨어져내리는 나그네쥐를 촬영하기 위해 절벽에 매달려 있던 생각만 하면 지금도 정말 아찔하네요! 그럼 이번에는 주변에서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붙인다. 이전에 봤던 지느러미라면 그
개체
가 잘 살고 있다는 뜻이다. 남방큰돌고래 8호도, 10호도 그랬다. 하지만 9호는 아니었다. 사람들이 JBD009를 다시 발견한 것은 제주 바다가 아닌 경기도 과천에 있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이었다.▼관련기사를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수 있다.
개체
수는 8월에 더 많지만 8월에는 워낙 다른 매미들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체
수가 적어 보일 수 있다.평지에 많이 분포하고 유지매미처럼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 어느 동네에 가면 굉장히 많지만 그 동네만 벗어나면 듣기가 어렵다. 저녁 늦게까지 우는 경우가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있을까.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이 단독
개체
형태로 자생했다고 한다. 2011년에 군락(
개체
군)을 형성한 경우가 1건 발견됐으나 이후 안전관리를 유도해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GMO가 발견된 지역 주변이 콘크리트, 시멘트,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돼 있기 때문에 생태계로 유출될 우려가 없다는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각각의
개체
수 변화를 나타내는 수식을 만든 뒤 연립하면, 늑대의
개체
수 증가가 토끼의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답니다. 반응-확산 방정식이 좀 더 궁금한 친구들은 아래 설명을 읽어 보세요!”반응-확산 방정식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pachyptila)가 테브니아보다 훨씬 많이 성장했다. 2년 6개월 후 대형 관벌레 한편으로 새로운
개체
들도 계속 정착해 자랐다. 이 기간에 홍합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종의 수가 늘어났다. 3년 7개월 후 대형 관벌레가 2000
개체
이상이 되었으며 그 전 해에 정착했던 홍합들이 서식지를 우점했다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있으니 한시라도 빨리 재분류해야 한다는 학자도 있었습니다. 이들은 화석 중 머리가 큰
개체
를 따로 모아 ‘호모 루돌펜시스’라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했습니다.리처드 리키가 발견한 화석도 머리 크기로 따지면 호모 루돌펜시스로 다시 분류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화석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