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상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현재 인공지능은 정해진
규칙
에 따라 게임의
규칙
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는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이 고도화된 인간의 지능을 따라잡는 것은 다른 차원의 얘기”라고 설명했다.인간의 지능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 ...
[놀이보고서] 놀 시간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줄여준답니다. 자유롭게 놀면 뇌도 성장한다 많은 놀이 중에서도 여러 명이 스스로
규칙
을 만들어 노는 ‘자유놀이’는 어린이 뇌발달에 중요해요. 캐나다 뇌과학자 세르지오 펠리스 교수는 몸싸움을 하는 자유놀이인 ‘엎치락뒤치락 놀이’가 어린 쥐에게 미치는 영향을 30여 년 간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확인해보고 싶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태어난 지 석 달 된 쥐에게 쳇바퀴에서
규칙
적으로 달리기를 시킨 뒤 서로 다른 두 가지 자극을 구분하게 했는데, 달리기를 꾸준히 한 쥐가 쳇바퀴가 없는 시설에서 지낸 쥐보다 자극을 더 잘 구분했다. 이는 새로운 뇌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다는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꼴치탈출의 비법, 미션 수업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수업을 계속할 계획이다. 단 1학기 때에 같이 했던 멘토, 멘티는 다시 짝이 될 수 없다는
규칙
을 만들어 새로운 멘토, 멘티를 짝지었다. 재미보다는 학생이 이해하는 수업이 중요미션 수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식의 수업을 시도하면서 문 교사는 무엇보다 수업 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 ...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용어정리*데이터 마이닝 :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
이나 패턴을 찾아 내는 것*초평면 : 유한 차원 공간에서 그보다 1차원 낮은 공간을 이르는 개념*클러스터링 : 비슷한 데이터끼리 묶어 집합을 나누는 분류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반을 접고, 또 늘렸다 반을 접는 걸 반복하면 두 점의 거리가 확연히 달라지죠? 일정한
규칙
대로 행동해도 큰 차이를 만드니 혼돈계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는 거죠. 찰흙을 반으로 접을 때의 모양이 마치 말발굽처럼 보이니, 이 새로운 개념을 제 이름을 따 ‘스메일 편자(Smale Horseshoe)’라고 부를까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숫자를 써가며 고민하기 시작했다. 대결을 지켜보던 학생들도 풀기 시작해 몇 가지
규칙
을 찾아냈다. 먼저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차례대로 나열하면 총 11자릿수가 된다. 16자릿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복으로 들어가는 노란색 오각형 위의 수들을 연결한 수가 5자리여야 한다. 따라서 이 수는 모두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가 발견됐다. 크리스 무어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설치류의 뇌 속에서
규칙
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뉴런’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뉴런은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초당 약 40회 자극을 일으키며, 외부감각에 ... ...
에필로그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있는 대칭 무늬를 찾아보면 어떨까요? 혹시 모릅니다. 지금껏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규칙
을 찾아낼지도? 일주일 내내 연구해도 지치지 않는 이유는? 바베이도스의 해변 덕분!그래프이론을 연구하는 수학자들은 매년 카리브 해에 있는 섬나라 바베이도스에 모입니다. 일주일 동안 서로 관심 있는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머뭇거리기도 했지만, 이내 적응이 된 듯 술술 써내려갔다. 일부 실험자는 쓰다 보니
규칙
을 찾았다며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오타 많아도 뜻 이해하는 이유글을 읽을 때 글자를 하나씩 읽는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글을 인식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더 복잡하다. 오타가 많아도 이해할 수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