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모두 되는 마법 도형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특정한 도형을 가리키는 수들을 ‘도형수’라고 부른다.학자들은 도형수를 만드는 규칙에 대해 연구해 마치 수열의 일반항처럼 각 도형수를 만드는 공식도 만들었다. 그 중에서 삼각수와 오각수, 육각수를 만드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완전수와 사면체수 품은 삼각수도형수 중에서 삼각수는 ... ...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기를 넣어 큰소리로 노래를 부르지. 종종 무리를 지어 노래를 부르기도 하는데, 독특한 규칙이 있어. 주변 개구리들과 겹치지 않게 차례대로 부르는 거란다. 일본 츠쿠바대학교 이큐 아이하라 교수 연구팀은 일본 전역에 분포하는 청개구리를 채집해 실험실로 데려왔어. 연구팀은 개구리를 한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사용되지 않은 알파벳이 있다?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에도 허점은 있었다. 일부 원소에서 규칙성이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았다. 특히 가장 문제가 됐던 건 27번 코발트(Co)와 28번 니켈(Ni)이었다.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원자량에 따라 원소를 정렬한다. 이 기준대로라면 더 무거운 코발트(원자량 58.93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인간 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교정은 끔찍한 난치병의 기초 연구에 한해 법과 윤리적 규칙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며 한 목소리를 냈답니다. 크리스퍼는 유용한 기술이지만, 생물에 적용하려면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아 보이네요. 크리스퍼가 다시 법정에 서지 않으려면 우리는 이 기술을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경우다. 거짓말 탐지라는 검사 자체에 너무 부담을 느껴 진실을 말하는 상황에서도 불규칙적인 신체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허위 긍정 오류(false positive error)’라고 한다. 허위 긍정 오류가 발생하면 사건과 무관한 사람이 단번에 용의자로 지목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비교 질문 방식의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학생들은 이전 수업에서 슈퍼마켓 물건 분류, 도서관 책 분류 등의 기준을 만들면서 규칙성을 찾고 대상을 분류하며 주기성을 이해했다. 국기 그려보고, 마인드맵 만들고학생들은 이날 4명씩 한 조를 이뤄 2시간 동안 주기율표를 제작했다. 한정된 시간에 주기율표를 완성하는 건 혼자 힘으로는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연산은 눈에 보이는 사물의 조합을 넘어 수들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는 논리적인 규칙이 됩니다. 음수 -3은 ‘사과 1개에서 4개를 빼고 남은 양’이 아니라 ‘양수 3을 더했을 때 0이 되게 하는 수’로 정의되고, 무리수 는 ‘제곱해서 2가 되는 수’로 정의되는 식이죠. 경험으로 수학을 배우는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변화구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밥이 공과 공기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해 불규칙한 공기 흐름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때 생기는 압력 차는 공이 빨리 나갈 수 있게 한다. 이번에 바뀐 공인구의 실밥 높이는 낮아지고 폭은 넓어졌다. 실밥의 변화는 특히 손이 작거나 힘보다는 제구나 변화구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무래도 심상치 않아…. 왜 이런 일이 연달아 일어날까?” 백설공주님의 집에서 나오는 길에 꿀록 탐정이 되뇌었어요. 어깨에 앉아있던 개코 조수가 대답했어요. “아직 속단하긴 일러요. 사건은 겨우 두 번 일어났잖아요?” “둘 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관련되어 있어. 할아버지의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딥러닝에 기반한 강화학습을 통해 인접한 아미노산이나 짧은 서열조각 사이의 진화적 규칙성을 찾는 데 집중한다. 학계에서는 인접한 아미노산의 관계가 진화적으로 연관된 여러 단백질에서 보존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양극(+)을 띠는 아미노산은 음극(-)을 띠는 아미노산과 서열상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