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예를 들어, 고래자리에서 발견된 ●변광성에 ‘고래자리 YZ’라는 이름을 붙이는 식으로요. 그런데 20세기 초까지도 학자마다 사용하는 별자리가 조금씩 달랐고, 별자리의 정확한 구역도 제대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어요. 그에 따른 오류나 실수도 발생했지요. 결국, 천문학자들은 1922년 열린 제1회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 마녀 일리야. 어젯밤 나방 친구 집에 놀러 갔었어. 길을 몰라 초음파로 메시지를 보냈는데 대답이 없는 거야. 그래서 한참 길을 ... 훨씬 쉽게 알아내거든. 그래서 나방들은 몸과 색이 비슷한 장소에 가만히 앉아 있단다. 포식자들에게는 비밀로 해 줘 ... ...
- AI 해설 경기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해설을 할 수 있을까요?실제 해설가들은 저마다 특유의 말투와 표현은 물론 전문적인 지식으로 팬덤을 형성하고 있어요. 현재 AI 해설은 대부분 규칙 기반 기술로 코딩 돼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쓰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아요. 인공지능이 진짜 해설가 수준에 다다르기엔 좀 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하지만 이내 다시 “코가 길어진다”는 말이 거짓말이 되니 코가 길어지겠죠. 이런 식으로 피노키오의 코는 길어졌다 짧아졌다를 반복할 거예요.고장난 컴퓨터가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것처럼 오류에 빠지는 거죠.한편에서는 이런 이유로 로봇 피노키오가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라는 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지나 까만 우주를 통과하는 동안 빨간색을 인식하지 않다가 태양에 닿으면 빨간색을 인식해 춤을 출 테니까요. 친구들도 함수코딩과 조건코딩을 이용해 밀키를 더욱 똑똑하게 만들어 보세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수 있었어요.키즈워크샵에서 자율주행 자동차도 만들었어요. 자율주행 자동차는 크게 인식, 판단, 제어의 3가지 단계를 통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어요. 초음파, 카메라, 레이더 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에서 분석하여 자동차 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한답니다. 이번 워크샵을 통해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정보통신 혁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노력 중이다. 일본 정부가 어떤 식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또 어떻게 경제주체의 비관론을 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 한국 정부도 면밀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한국은 일본과 달리 인플레이션 압력이 존재하고 외환시장도 안정적이다. 그러나 ... ...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만약 골드펠드 추측이 참이라면 아직 체계적으로 푸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3차식의 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증명에 사용한 BSD 추측은 미국 클레이재단이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건 밀레니엄 문제의 하나로, 아직 증명되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골드펠드 추측이 완전히 풀린 것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쌓아 밀물과 썰물에 의한 바닷물의 높이차를 이용해 발전기를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없고, 발전 비용이 저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초기 시설 투자비가 많이 든다는 점과 해수면 높이에 차이가 없을 때 가동할 수 없다는 이유로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등장한 우애수 우애수는 소설과 영화에도 등장했다. 일본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과 이 소설을 토대로 만든 같은 이름의 영화에서 우애수는 이야기 전개를 위해 중요한 소재로 쓰였다. 주인공은 장래가 촉망되는 수학자였지만 불의의 사고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유지되는 박사다. 박사가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