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유기물과 무기물 섞어 스마트 소재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금성에서 온 여자’처럼 너무나 다르다. 박진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한데 어우러진 ‘하이브리드 물질’을 설계하고 있다. 세상에 없던 화합물 만드는 ‘요리’“무기물은 열과 마모에 강하지만 합성이 어렵고, 유기물은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결국 세균과 바이러스의 전쟁에서 나온 진화적 산물”이라며 “이를 인류가 유전공학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 예고: 김 교수는 “수만 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에서 유전정보 전체가 단 한 번의 단절도 없이 대물림됐다”며 “이런 엄청난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강연에서 설명할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주 하게 되고, 게임을 직접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루에 3시간씩 자면서 게임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만큼 매달렸다. 게임 개발자가 되려면 어떤 소양이 필요한가우선 게임을 좋아하고, 게임을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전공이 다양하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IT 관련 기업에서 일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게임 회사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돼 결국 게임 개발자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창의적이고 환상적인 게임이 탄생할 수 있는 것 ... ...
- [Issue] 한국판 셜록홈즈 나오나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과 동일한 민간자격증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다. 동국대가 개설한 탐정법무전공을 이수하면 민간조사자격이 주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민간조사학개론’ ‘범죄학 및 범죄심리학’ ‘법학개론’ ‘민간조사관계법’ ‘민간조사실무’ 등 5개 과목에서 모두 60점 이상 받아야 한다. 김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비해 저축까지 해놓는 아주 똑똑한 시스템입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 ...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보여주는 집은 ‘모델하우스’로 불린다. 곽준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팀은 식물 세포에서 이런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식물 세포 모델’을 통해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담긴 비밀을 풀어내기 위해서다. 꽃잎 떨어지는 원리 첫 규명식물은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립됐다. 올해로 학과 설립 72주년을 맞았다. 설립 당시 국내에서 유일한 조선해양공학 전공학과였고, 관련 산업 자체가 전무했다. 한국의 조선 산업이 서울대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교수진_선박 생산 공정, 학문으로 첫 정립 2017년 12월 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달라질 수 있다. 최근 고등학교에서는 연간 교육과정을 짤 때 학생들의 진로 및 희망 전공에 따라 다양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을 배치하기 때문에 무리해서 교외 봉사활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표5]에서 사례 3, 4의 두 학생은 각각 지역 아동과 또래, 새터민 교육봉사를 3년간 꾸준히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 관심이 많았어요. 그런데 대학교에 진학해서는 유전학과 생화학을 전공해 우주에 관한 연구를 할 기회가 없었지요. 그러던 중 2002년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생명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